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불행한 영혼을 위한 施食 절차를 그린 감로도에는 사부대중의 주요 구성원인 비구니와 우바이를 비롯해 생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여성이 도해된다. 유교사회는 여성의 종교 활동을 금지시켰으나, 남녀의 구별 없이 수행을 독려하는 불교의 교리는 여성 신도에게 평등의 가치를 알려주며 서원을 이뤄나가는 성취감과 해방감을 주었다. 현존하는 70여 점의 감로도 중 비구니가 도해된 감로도는 40점 정도로, 비구니를 도해한 귀중한사례다.
한편 상궁이나 사당처럼 전문직임을 지닌 여성은 감로도의 주요 도상으로 그려졌을 뿐 아니라 실제 감로도 제작의 후원자로 활약했다. 여성신자들의 지속적인 불사 후원은 경전의 내용을 한글로 언해하는 작업이나, 시각적인 재현물을 앞에 두고 경설을 듣는 방식, 즉 감로도와 같은 서사구성을 지닌 불화가 활성화되는데기여했다. 감로도는 믿음이나 신념처럼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세계로 끌어왔다는 점에서 종교화 영역에 속하지만, 기록화로서의 성격도 지닌다. 영혼 구제를 위해 제작되었지만 공동체의 이상이나 욕망, 때로는 공포도 담겨 있어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감로도에 표현된 함의와 변화를살펴보면서 종교미술에 담긴 젠더 인식의 한 측면을 고찰할 수 있다.
In the Buddhist paintings known as Nectar Ritual Painting (Kamnodo 甘露圖), which depicts the ritual of food offering (sesik 施食) for hungry ghosts (agwi 餓鬼), there are various representations of women, including nuns and laywomen, engaged in different roles. Although Chosŏn society was built upon Neo-Confucian ideals that imposed restrictions on women's religious activities, Buddhism, which promote religious practice without gender discrimination, offered female practitioners a sense of equality, fulfillment in their vows, and liberation. Of the seventy known works of Kamnodo, around forty feature depictions of nuns, providing valuable historical evidence about Buddhist nuns and their representation. In addition, women in professional roles within Chosŏn society, such as court ladies (sanggung), female shaman and female entertainer (sadang), are depicted as central figures in Kamnodo. Importantly, these women often acted as patrons for the creation of such painting. The continued Buddhist sponsorship from female devotees contributed to the translation of sacred scriptures into Han'gŭl and fostered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painting genres like Kamnodo, which were used as visual aids in Buddhist lectures. While Kamnodo is primarily a religious painting aimed at making intangible spiritual beliefs visible, it also serves as a historical record. Created for the salvation of souls, it reflects the ideals, desires, and, at times, the fears of the community, offering key insights into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By examining the meanings and transformations seen in Kamnodo, we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gender perception in Chosŏn Buddhist art.*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