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낯설게 하기’ 이론을 바탕으로 VR 애니메이션의 상호작용 서사 연구 = A study on interactive narrative in VR ani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defamiliarization' : a case study of the Google Spotlight Stories film <Rain or Shine> : 애니메이션 <Rain or Shine>을 중심으로 길천웅, 정혜경 p. 7-48
<날씨의 아이>를 통해 본 일본 고전 신화의 변용성 = The variability of Japanese classical mythology as seen through "Weathering with You (天気の子)" 김미선, 이창수 p. 49-87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 a study based on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김소영 p. 89-124
제스처 기반 드로잉 시스템 Quill을 활용한 VR 애니메이션 제작 교육모델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model for VR animation production using the gesture-based drawing system Quill 김숭현, 최재하 p. 125-153
해외 애니메이션 정부 지원 사례를 통한 국내 애니메이션의 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supporting Korean animation by cases of foreign government policies of animation : focusing on international co-production cases : 해외 공동제작 사례 중심으로 박현우, 유주아 p. 155-189
애니메이션 <심해>에 나타나는 서사적 은유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narration metaphor in the animation of <Deep Sea> 소몽하, 염준영 p. 191-221
'낯설게 하기’ 이론 관점에서 중국 “백사” 시리즈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hinese "White Snake" series ani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familiarization' theory 왕문아, 정혜경 p. 223-252
아도르노의 디즈니 만화영화 비판 = Adorno's critique of Disney's cartoon films 이아름 p. 253-277
디즈니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올바름의 시각적 영향 = The visual influence of political correctness in Disney's works : focusing on skin color in Disney's <The Little Mermaid> : 디즈니 <인어공주>에 나타난 피부색을 중심으로 한혜진 p. 279-307
최정현 애니메이션 작가론 = Choi Jeong-hyun author theory : centering on <Bangchungmang>, <Sangheun>, and <Geunali omyeon> : <방충망>, <상흔>, <그날이 오면>을 중심으로 황윤희, 김재웅 p. 309-346
2000년대 이후 한·중·일 웹툰 산업의 흐름 = The flow of the webtoon industry in Korea, China, and Japan since the 2000s 팽지립, 윤기헌 p. 347-385
1990년대~2000년대 초 한국의 캐릭터 열풍 현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character craze phenomenon in Korea in the 1990s and early 2000s 전혜정 p. 387-410
3D 캐릭터를 활용한 효율적인 이모티콘 제작 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icient Emoji making method using 3D characters : focusing on emoticon characters : 이모티콘 캐릭터를 중심으로 김경문 p. 411-437
중국 산수화 재현을 위한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연구 = Research of AI prompts engineering for the reproduction of the traditional Chinese landscape painting : focus on midjourney and blue-and-green landscape painting : 미드저니와 천리강산도를 중심으로 위언연, 김치훈 p. 439-463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에서 장소와 캐릭터 애착이 게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lace and character attachment on the game in animation storytelling : through the cases of <EdgeRunner> and <Cyberpunk 2077> : <엣지러너>와 사이버펑크 2077 사례를 통하여 김현숙 p. 465-485
AI 기반 모션캡처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용 연구 = Utilization study about AI-based motion capture for animation production 홍원빈, 김정기 p. 487-514
중국 세로 숏폼 드라마 <무쌍>의 성공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success factors of the Chinese stand-up short drama "Wushuang"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s semiotics : 그레마스 기호학의 관점으로 홍주 p. 515-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