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21년 창작된 카렐 카페크의 희곡 『로봇(Rossum’s Universal Robots)』이후로 로봇은 SF 서사에서 중요한 비인간 행위자로 등장해 왔다. 서사 속 최초의 로봇은 초기 산업용 로봇의 이미지에서 유래한, 비유로서의 노동자였다. 이후 로봇의 역할이 동반자로 확대되면서 SF의 로봇 서사들은 노동자로서의 로봇과 인간의 반려자로서의 로봇이라는, 로봇의 두 가지 역할을 부여하는 가운데 만들어져 왔다. 이 논문은 듀나, 정보라, 윤이형, 최의택, 천선란 소설 가운데서 로봇이 중요 행위자로서 인간과 상호작용하고 인간과 친밀성을 갖는 소설들을 대상으로, 행위자로서 로봇 서사가 만들어내는 서사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로봇 서사는 로봇의 신체에 새겨진 젠더, 인종, 계급, 장애 등의 교차적 타자성이 허구적인 차별 기제임을 폭로하기도 하고 인간과 로봇 사이의 존재론적, 실존적 간극을 드러냄으로써 인간-비인간 사이의 관계성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인간이 불가해한 타자를 이해함에 있어 테크노필리아를 자처하는 인간 스스로가 ‘동일시’라는 휴머니즘적 환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는 어떤 ‘의의’를 보여주기도 한다. 따라서 SF의 로봇 서사는 휴머니즘적 환상의 의의와 한계를 보여주는 뒤집혀진 리얼리즘의 서사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 교육에서 유기체 모델의 구조와 변전(變轉) 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ngeability of organism models in poetry education 강민규 p. 7-54
로봇과의 사랑, SF 로봇 서사에서의 친밀성과 행위자성 = Love with robots, intimacy and agency in robot narratives of science fiction 노지승 p. 55-88
문학교육에서 변혁적 역량의 정치적 재개념화와 사회적 주체 = The political reconceptualization of transformative competence and social subjects in literary education 문장원 p. 89-122
문학교육에서 ‘영웅의 일생’ 구조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use of the ‘heroic journey’ structure in literature education 박은진 p. 123-149
문학을 통한 ‘나’라는 문학의 발견과 미적 실현 = Discovery of the self through literature and its literary realization : appreciation and education of literature centered on story-in-depth of self : 자기서사를 축으로 한 문학의 탐구와 교육 신동흔 p. 151-207
미디어 서사의 변화에 따른 문학교육의 향방 탐색 = Exploring the future of literature education as media narratives change 오윤주 p. 209-249
성인 독자의 독서 경험과 초등교사의 독서 교육 실천 = Reading experience of adult readers and reading teaching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지영 p. 251-281
리듬 경험 중심 고전시가 교육의 가능성 탐구 = Exploring the potential of rhythm experience in classical poetry education 이혜린 p. 283-308
문학교육에서 문학 대화에 대한 소통론적 이해 = Understanding literary conversation in literary education from a communication theory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case of learners reading poetry in small groups : 고등학생의 소집단 시집 읽기 사례를 중심으로 진가연, 박주형 p. 309-357
고전소설의 향유적 읽기 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 A study for the enjoymental reading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최인찬 p. 359-393
관계성 중심의 문학교육을 위한 이론적 고찰 =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relationality-centered literary education 황예인 p. 395-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