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장기 거주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발음 습득 경험을 탐구하고, 이들의 원어민 수준에 가까운 발음 습득 과정에서 언어 입력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질적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성공적인 발음 습득 과정에는 원어민 수준의 발음 습득 목표 설정, 다양한환경에서의 풍부한 언어 입력, 체계적인 학습 전략 활용, 적극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직업 경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 직장, 미디어, 교육 기관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질 높은 언어 입력과 실제적 의사소통 경험이 원어민에가까운 발음 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이주민의 제2언어 발음 교육에 있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발음 교육의 필요성, 질높은 언어 입력과 실제적인 의사소통 기회 제공의 중요성,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 직업환경을 활용한 교육 방안 모색, 장기 거주 이주민을 위한 고급 언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등을 제언했다. 본 연구는 장기 거주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자들의 원어민 수준 발음 습득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성인 이주민의 제2언어 발음 습득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효과적인 언어 교육 방안 수립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미디어 한국어> 수업에 적용 최권진 p. 341-371
“당신”과 함께 말하기 = Telling with “You” : designing enlightenment project of the Hansen’s disease listening from the autobiographical memory of Joon Lew(柳駿) : 한센병 치료 전문의사 유준(柳駿, Joon Lew) 박사의 자전적 기억에서 듣는 계몽사업 설계 한순미 p. 495-519
『벌레 이야기』의 구원과 인간 한계성 고찰 = A study on the salvation and human limitations in The Story of the Worm 강준수 p. 613-629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방법론의 주요 관점과 특징 이해 = Understanding the key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ethnography 정정훈 p. 669-696
다(多)세대 통합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multi-generatio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 focused on “The Autobiography of the Elderly - Generation Empathy” : ‘청년이 써가는 어르신 자서전-세대공감 잇다’를 중심으로 서온유, 김선영 p. 1-23
외국인 요양보호사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시론 =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caregivers 김고니, 박지순 p. 373-396
융합기초교양과목 수업에서 토의 및 토론 방법 적용 사례 = Case study of application of discussion and debate in convergence basic liberal arts courses 손미란 p. 589-611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교생활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다문화 자녀 특별지원 필요성 조절효과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eed for spe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parents and adolescents’ school life 전혜경 p. 25-49
다문화가정의 부모-자녀 관계가 고등학생 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elf-resili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the mediating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ulti-group analysi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및 다문화 배경의 다집단분석 풍자권, 함승환 p. 51-90
초·중등 학부모의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 Perception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 focusing on parents’ neutral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as their children’s classmates : 자녀의 동급생으로서 다문화학생에 대한 중립적인 인식을 중심으로 박애스더, 권순구 p. 91-116
외국인 요양보호사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안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 nursing care workers 안진숙 p. 397-419
다문화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 효과분석 = Effects of a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AI in multicultural education 권소은 p. 187-216
혼합형 글쓰기 패턴 적용 한국어 쓰기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pplying the mixed writing pattern in Korean writing classes : focusing on TOPIK Ⅱ question 54 : TOPIK Ⅱ 54번 문항을 중심으로 한강우 p. 309-340
웰빙인지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적 치유 효과 분석 연구 =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of well-being cognitive techniques on Korean language learner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고혜민, 조현용 p. 421-449
파이썬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서비스러닝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in service learning using Python topic modeling 이경자 p. 631-651
장기 거주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 = Korean pronunciation acquisition of long-term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women : a qualitative study on the impact of language input : 언어 입력의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정지은, 임수정 p. 275-307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체육교과 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 Considerations for the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nce in elementary students : 초등학교 5학년 체육교과 내 전통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박선우 p. 249-273
소규모 학교 운영과 교사 행위 주체성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rural small school teachers’ agency : focusing on the US teachers in the intermountain region : 미국 산간 벽지 학교를 중심으로 신경희, Mia Kang, Rhet Rowley, Trevor Warburton, Vessela Ilieva p. 521-543
글로벌시대 디아스포라의 문화 자각과 과경민족 속성에 대한 고찰 = An examination of the diaspora’s cultural consciousness and cross-border ethnic groups’ attribut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focused on the Korean Chinese : 중국 조선족을 중심으로 전덕지 p. 169-186
주민과의 소통태도가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ttitudes with residents on the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activities in local council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base : 소통기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세일, 송진영, 김현석 p. 653-668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관계 분석 =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고은선 p. 117-136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율성 지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스마트폰 과의존 및 학업 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 차이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gender differences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utonomy suppor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cademic helplessness : focusing on Chinese college students :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jin, chengshuai, 안도희 p. 137-168
귀국 대학생들의 문화정체성과 적응에 대한 합의적·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ultural identity and adaptation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이수경, 김송이, 성민정 p. 217-248
학교 부적응학생 지원정책에 나타난 학생 이해와 교육적 과제 = Understanding of student and educational challenges revealed in school maladjusted student support policies 정기섭 p. 451-468
대학 신입생용 진로결정도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decision tool for university freshmen : focusing on I university : I대학을 중심으로 주소영, 정연재, 이승엽 p. 469-494
한 초등 미술 교사와 자폐 유사 증세를 보이는 아동과의 관계 형성 및 상호작용에 관한 사례 탐구 =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an elementary school art teacher and a child with autism-like symptoms 장용석, 전영국 p. 545-568
장애인 사회참여 촉진을 위한 Spatial 메타버스 플랫폼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Spatial’ metaverse platform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the right to access facilities, and the right to mobility : 정보접근권, 시설물접근권, 이동권을 중심으로 백종인, 박현순, 하재렬, 김동하, 김동환 p. 569-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