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디자인 시스템은 디자인이 UX 디자인 업무에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업무 문화에 대한 도움이 되고자 시스템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 생성형 AI를 통한 디자인 시스템 활 용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는 반복되는 프롬프트의 문장, 단어가 유사한 아이콘으로 일관된 시각 경험을 구축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실험 은 생성형 AI를 통해 디자인 시스템에 속한 그래픽 요소인 아이콘을 디자 인하고, 현재 운영 중인 서비스의 아이콘을 교체할 경우 차이를 확인한다. 실험물은 다양한 그래픽 스타일이 사용되는 서비스인 토스의 UI 디자인으 로 구성했다. 실험물은 토스의 UI 디자인 유형과 UI 디자인에 사용된 아이 콘을 생성형 AI의 아이콘으로 수정한 UI 디자인 유형으로 설정했다. 비교 분석은 T-test로 진행했다. 실험 결과, 2가지 UI 디자인 유형 간 차이는 무 의미했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로 디자인 시스템에 포함된 아이콘을 디자인 하여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피험자 인터뷰에서 생성형 AI로 구현한 UI 디자인의 아이콘은 기존 UI 디자인의 아이콘과 큰 차이가 없다고 제시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생성형 AI를 통한 아이콘 디자인 시스템 활용 방안 탐색 = Exploration on the utilization of icon design system with generative AI : Toss UI design : 토스의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장순규 p. 1-14
아동 학습 앱에서 어포던스 개념의 적용과 GUI 디자인 요소 효과 탐구 = Exploring the app of the affordance concept and effects of GUI design in children's learning apps : focusing on interviews with children aged 6-12 : 6-12세 아동 인터뷰를 중심으로 상일박, 김현석 p. 15-32
중·고령층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UTAUT2 모델 기반 디지털 헬스 케어 서비스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healthcare service framework based on UTAUT2 model digital literacy in middle-aged and elderly 이윤수, 박승민 p. 33-49
퍼소나 제작에서 Human Made 제작 방식과 LLM Made 제작 방식 비교 = Comparing human made and LLM made methods in persona creation 박지은, 연명흠 p. 51-66
공연예술의 인터랙션 유형에 따른 무대 연구 = A study on the stage according to interaction types in performing arts 양예은 p. 67-82
GenAI 사용 여부 및 디자인 전공 여부에 따른 디자인 시나리오 제작 과정 비교 = Comparison of the design scenario production process based on GenAI usage and design major status 송혜정, 연명흠 p. 8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