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에서는 우베 욘존의 소설 『어느 불행한 이의 스케치』에 숨겨진 룽에의 메르헨 「어부와 아내에 대하여」와의 상호텍스트적인 관계를 밝혀, 메르헨의 현대적 변용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욘존이 1976년에 룽에의 저지독일어 텍스트를 현대독일어로 번역한 작업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 시기에 그가 처해 있던 전기적 상황, 즉 부인의 외도를 알게 된 이후 창작의 위기를 맞이했던 작가의 상황이 현대 번역어 선택에 투영되어 있음을 분석해낸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이 소설에숨겨진 룽에 메르헨의 흔적을 밝힌다. 이 소설을 주인공 “드 카트와 그의 아내” 이야기로 읽는다. 또한 메르헨에서 남성조력자로서의 ‘넙치’ 역할을 주인공에게 영향을 준 ‘서적’들(인용미학)의 기능에서 분석해낸다. 이로써 작품 내에서 20세기 작가인 주인공의 여성관, 결혼관은 19세기 가부장질서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기에 행복하지 않은 부부관계를 가졌음을 밝힌다. 개인사 차원에서 메르헨 변용을 보여준 욘존과는 달리, 거의 동시대에 이 메르헨을 변용하여 인류사적인 차원에서 소설화한 귄터 그라스의 『넙치』, 특히 8장 “아버지의 날”에서 이야기된 현대판 ‘어부와 그의 아내’인 ‘막스와 그의 아내 일제빌’과 비교함으로써, 이 메르헨의 현대적 변용의 의미를 확인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독문학 연구의 이론적 확장 = Die theoretische Erweiterung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 Theoretische Forschungen und ihre Streitpunkte in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seit 2000 : 2000년 이후 독문학 연구 이론의 동향과 쟁점 정항균 p. [1-2], 7-33
자동화 기술에 대한 문학적 성찰 = Literarische Betrachtungen zur Automatisierungstechnik anhand von Goethes Der Zauberlehrling : 괴테의 「마법사의 제자」를 통해 본 N. 위너의 ‘사이버네틱스’와 인공지능의 미래 구연정 p. [1-2], 35-58
서구 자연 여행자 헤르만 헤세의 『인도기행』 = Hermann Hesse als westlicher Naturtourist : Aus Indien von Hermann Hesse aus der Perspektive des postkolonialen Ecocriticism : 포스트콜로니얼 에코크리티시즘적 관점에서 김지선 p. [1-2], 59-79
프랑스 초현실주의의 선행자로서 한스 아르프 = Hans Arp als Vorgänger des französischen Surrealiamus 박미리 p. [1-2], 81-107
그레고르의 분신으로서의 오드라덱 = Odradek als Gregors Doppelgänger : Der Widerstand gegen den patriarchalischen Kapitalismus in Kafkas Die Sorge des Hausvaters : 카프카의 「가부장의 불안」에서 나타나는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에의 저항 양강하 p. [1-2], 109-126
브레히트의 「서푼짜리 오페라」 또는 “아래로의 개방” = Bertolt Brechts Die Dreigroschenoper(1928) oder “Öffnung nach unten” : Populärkulturbasierte Kunstpraxis im Zeitalter der Kulturindustrie : 문화산업시대의 대중문화적 예술실천 오성균 p. [1-2], 127-153
안네마리 슈바르첸바흐의 『페르시아에서의 죽음』에 관한 연구 = Eine Studie über Tod in Persien von Annemarie Schwarzenbach : In Bezug auf die Bedeutung von Schwarzenbachs Reise nach Persien : 슈바르첸바흐의 페르시아 여행의 의미를 중심으로 박현용 p. [1-2], 155-172
하이너 뮐러의 시간 이해 = Zeit bei Heiner Müller : Im Blick auf den Engel der Geschichte : 역사의 천사를 중심으로 오동식 p. [1-2], 173-192
빌렘 플루서의 기술이미지와 텔레마틱 사회 = Technobilder und telematische Gesellschaft bei Vilém Flusser : ‘장치-전체주의’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서 텔레마틱 분석 임석원 p. [1-2], 193-217
메르헨 「어부와 아내」의 현대 문학적 변용 = Moderne literarische Adaption des Märchens Der Fischer un syner Fru : Im Fall von Uwe Johnsons Skizze eines Verunglückten : 우베 욘존의 『어느 불행한 이의 스케치』를 중심으로 김연수 p. [1-2], 219-244
독일현대문학에 새겨진 유럽의 자화상 = Europäische Selbstbildnisse in der deutschen Gegenwartsliteratur. 3, F.C. Delius: “Wenn die Chinesen Rügen kaufen, denkt an mich”. 3, 델리우스의 소설 『중국인들이 뤼겐을 사면 나를 생각해』 신성엽 p. [1-2], 245-268
디터 퀸의 문학 전기 『괴테, 전쟁에 참전하다』 = Dieter Kühns literarische Biographie Goethe zieht in den Krieg : Zur Skizze einer Biographie “Goethe in Weimar 1820” : 전기 “바이마르의 괴테 1820” 초안 쓰기 장희권 p. [1-2], 269-292
문학적 돌봄의 매체로서 그림책 = Das Bilderbuch als Medium der literarischen Fürsorge : Am Beispiel von Jutta Bauers Schreimutter und Peter Schössows Gehört das so??! : 유타 바우어의 『고함쟁이엄마』와 페터 쉐소우의 『이럴 수 있는 거야??!』를 중심으로 최문선 p. [1-2], 293-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