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AI 디지털교과서의 설계 및 정책 방향을 탐색함에 있어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긍정적 전망,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현실적 우려, 교사의 적극적 활용을가능하게 하는 방안,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설계에 대한 요구, AI 디지털교과서의 안착을 위한 정책적 지원 요구에 대한 5개의 대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및 논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I 디지털교과서의 설계 및 정책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1) 지체장애학생의 물리적 접근성 확보, 2) 데이터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기반 마련, 3) 학교 차원의 디지털성숙도 향상.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sign and policy direc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digital textbooks by investigating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teach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working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Five major themes were derived: 1) positive outlook on AI digital textbooks, 2) practical concerns about AI digital textbooks, 3) strategies to foster educators’ active use, 4) demands for learner-centered personalized design, 5) needs for policy support to en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I digital textbook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nd discussions were made regarding the design and policy dire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1) ensuring physical accessibility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he collection and use of data, 3) improving the digital maturity of school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대학생의 컴퓨터 및 디지털 활용 역량에 대한 대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on computer utilization and digital competenc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a grounded theory study : 근거이론 연구 박경옥, 김지연 p. 1-22
계량서지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특수교육과 공학의 연구동향 분석 =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pecial education and technology : focusing on Web of Science and Scopus databases : Web of Science와 Scopus 데이터 베이스를 중심으로 손승현, 이예다나, 강영모, 김민서, 유민서 p. 23-47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 경험과 지원 요구 =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표윤희, 김정연 p. 49-67
특수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pecial schools 송승민 p. 69-92
신체활동 중심의 STEP 프로그램이 중도중복장애학생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based STEP program on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김영한, 김하영 p. 93-117
유아 통합학급의 교사 협력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eacher collaboration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s : focusing on Martin Buber’s educational philosophy of ‘encounter’ : 마르틴 부버의 ‘만남’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강성리 p. 119-142
지체장애학생 대상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요구분석 = The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s for artificial intelligence(AI)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이가영, 조아라, 이설희 p. 143-157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장애무용예술교육 정책이슈 변화 분석 = Analysis of policy issue changes in disability dance art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이지설 p. 159-173
양육자 코칭-가정 기반 긍정적 행동 지원(PBS)이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과 양육자의 양육 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home-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through caregiver coaching on challenging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regivers’ parenting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서규원, 이병인 p. 175-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