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方言類釋』은 다른 유해류 역학서와 달리 근대 표준중국어를 표제어로 수록하였고, 표제어 뒤에 '中州鄕語'라는 당시의 중국 지방방언 어휘까지 수록한 역학서이다. 본고에서는『方言類釋』의 '中州鄕語'에 수록된 방언 어휘의 특징을 살펴보고 방언 어휘에 반영된 지역문화상을 알아보았다.『方言類釋』의 '中州鄕語'는 모두 194개로, 粵方言, 湘方言, 晋方言, 吳方言 어휘 중 吳方言이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淸代 翟灏가 편찬한『通俗編』과 비교한 결과 吳方言 어휘가 다른 방언 어휘에 비해 훨씬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方言類釋』의 '中州鄕語'에 수록된 방언 어휘를 공시적˙통시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白相’과 ‘孛相’, ‘薄相’은 동의어로서 異形詞 형태로 吳方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方言類釋』의 '中州鄕語'에 수록된 방언 어휘에 반영된 지역문화도 알아보았다. 『方言類釋』의 罵辱類에 수록된 '獠'는 '사냥하다'의 의미를 지니지만 吳方言 지역에서는 '천한 남녀를 욕하는 말(斥男女之賤者)'로 사용하고 있어 吳方言 지역의 독특한 욕설 문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