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reconciliation thought of Lothar Kreyssig (1898–1986). He was a German Christian judge in Weimar and Nazi times. He was the only judge who objected to the policy of euthanasia for the disabled, the so-called Operation T4 (Aktion T4) during Nazi times in Germany. This policy started on September 1, 1939 and stopped in 1941.
About 200,000 people were killed in this operation in Germany and Austria and 100,000 people in other European countries. After World War II, he was again offered a judgeship, but declined. Later, he became an advocate of German reconciliation movement by establishing the Action for Peace Reconciliation Service and the Action for World Solidarity, a German development ai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His idea of reconciliation is very important and has profound implications for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is article first briefly examines his life, his thought on reconciliation and concrete action. Then it evaluates what influence he left behind and concludes what kind of lessons he gives to the Korean situation.
본 논문은 로타 크라이식(Lothar Kreyssig, 1898-1986)의 화해 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그는 바이마르와 나치 시대의 독일 판사였다. 그는 독일 나치 시대에 소위 작전 T4(Aktion T4)라고 불리는 장애인 안락사 정책에 반대한 유일한 판사였다. 이 안락사 정책은 1939년 9월 1일에 시작되어 1941년에 중단되었는데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약 20만 명이 이 작전으로 사망했으며 기타 유럽 국가에서는 10만 명의 장애인이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그는 다시 판사직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 나중에 그는 화해의 사도가 되어 독일 개발 원조 비정부 기구인 화해를 위한 평화봉사단(ASF: Aktion Sühnezeichen Friedensdienste)를 설립했다. 그의 화해 사상은 매우 중요하고 한반도 정세에 깊은 함의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그의 생애를 간략히 살펴본 후 화해에 대한 사상과 그 구체적인 열매인 화해를 위한 평화봉사단을 고찰하고 그의 사상이 한반도 상황에 대해 주는 교훈을 평가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