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기독교 세계관의 개념을 재정의하여, 주지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몸으로 실천하는 세계관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존의 기독교 세계관 논의는 세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이론적 틀에 치중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접근은 신앙과 삶을 분리시켜 실천적 변화를 유도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은 리처드 미들턴과 브라이언 왈쉬의 네 가지 질문, 즉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에 있는가?”,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세계관이 신앙적 결단과 실천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제임스 스미스의 사상에 기반하여, 세계관은 단순히 지식이나 인지적 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과 실천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삶의 방식임을 제안한다. 스미스는 인간이 단지 생각하는 존재가 아니라 욕망하고 행동하는 존재임을 강조하며, 기독교 세계관은 우리의 실천을 통해 몸으로 살아내는 방식으로 구현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논문은 세계관이 이데올로기로 변질될 위험성을 경고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성경적 근거와 현실적 적합성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성찰과 재해석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이를 통해 기독교 세계관은 개인과 공동체의 변화를 이끄는 실천적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세계관은 단순히 ‘세계를 바라보는 눈’이 아니라, ‘세계를 살아내는 몸’으로 재정의되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research on the reconciliation thought of Lothar Kreyssig = 로타 크라이식의 화해 사상에 관한 고찰 Yong Joon (John) Choi p. 5-26

죽음과 애도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및 접근 = The consideration and approach of Christian counseling regarding death and mourning 김수지 p. 27-58

1인칭 기독교 시뮬레이션 게임의 스토리텔링 연구 = A study of storytelling in first-person Christian simulation games : a case study of <I am Jesus Christ> : <I am Jesus Christ>를 중심으로 김태룡 p. 59-82

영화를 활용한 기독교세계관 수업 참여 경험 =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Christian worldview class using film : focusing on students from B Christian university : B 기독교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고기숙 p. 83-113

치매이방인과 메시아적 환대 = Demented-strangers and messianic hospitality 권유리야 p. 115-134

중년의 웰다잉(Well-dying) 인식 = Well-dying awareness of the middle-aged : Colaizzi’s phenomenological study :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최은정, 정유진 p. 135-159

동성애에 관한 선교신학적 연구 = A missiological study on homosexuality 옥필훈 p. 161-184

포스트휴머니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study on critical posthumanism education : focusing on the discourse of Biesta and Maritain : 비에스타(Biesta)와 마리땡(Marita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홍지희 p. 185-205

기독교 세계관 개념을 재정의하기 = Redefining a Christian worldview : 세계관을 몸으로 살아내기 위하여 김기현 p. 207-228

Girard’s mimetic theory : towards a theological framework for educational anthropology Todd John Wallenius p. 229-242

범죄자가 추구하는 ‘거짓 행복’의 실체와 ‘참된 행복’의 탐색 = The reality of ‘false happiness’ pursued by criminals and the search for ‘true happiness’ 김재민 p. 243-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