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적응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통해 다문화 아동·청소년 복지의 함양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데이터」(MAPS 1기) 중 중학생 시기인 4~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포함된 다문화가정 중학생 수는 1,316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지연 효과검증을 통한 성별 비교 결과,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이전 시점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적응이 이후 시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시간이 흐름에도 남녀집단 모두 안정적으로 자기지연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교차지연 효과검증을 통한 성별 비교 결과, 남학생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간의 상호관계가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이전시점의 자아존중감이 이후시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이전시점의 학교적응이 이후시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지원하는 데 있어 세 변인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복지 개입 방안의 실천적 측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inter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acculturatio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employing an autoregressive lagged model to enhance the well-being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Data (MAPS 1) covering the 4th to the 6th academic years of 1,31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self-lagged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stress were stable over time. Specifically,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acculturative stress at earlier time poi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factors at later time points for both boys and girls. Second, a gender comparison of the cross-lagged effects revealed distinct patterns. For boys, there were significant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between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stress. Moreover,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ly affected acculturation stress. For girls, earlier self-esteem influenced later acculturation stress, while prior school adjustment affected subsequent self-esteem.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stress in supporting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적응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Longitudinal inter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acculturatio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a focus on gender multigroup analysis :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중심으로 김은혜, 정선재 p. 28-51

HPV 백신접종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Factors associated with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hio in the US : Andersen’s health service utilization model : 앤더슨 모델의 적용(오하이오 지역 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손은정 p. 52-71

WHO 알코올 정책 종합 지표를 활용한 국내 알코올 정책 평가 = Evaluating South Korea’s alcohol policy by using the WHO composite indicators measuring alcohol policy implementation 김용석, 김은서, 안요셉, 백지연, 박신영, 고현빈, 김동주 p. 72-98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기후변화가 장애인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 : Scoping Review : a scoping review Lee, Sungkyu p. 99-110

노년기 고독생(孤獨生) 구분과 고독생 초래 요인 탐색 = Classification of lonely lives in old age and exploration of factors leading to lonely lives 허원빈, 오영삼 p. 111-136

핀란드 복지서비스 자치주의 노인 재가 돌봄 현황 및 시사점 =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Finland’s wellbeing services county in elderly home care : focusing on the home care system of Siun Sote : 시운 소테를 중심으로 이연호, 김수현, 전용호 p. 137-162

경쟁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시설 비급여 가격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mpetition on the price of non-covered ser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 evidence from meal ingredient prices : 식사재료비를 중심으로 송윤아 p. 163-181

장애발생 시기가 중고령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disability onset timing on financial retirement preparedness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a moderating effect of assets : 자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정민, 양은정 p. 182-201

「장애인건강권법」 시행하에 중증 장애인이 인식하는 건강 개념과 관리 경험 = The meaning of health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health care experiences : under the enactment of the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Medical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of 2017 김혜진, 장숙랑, 임재영, 김소영, 엽경은, 박종혁 p. 202-225

미혼 청소년 한부모의 주거·생활 및 자녀돌봄 정책 지원 효과 = The effect of supporting single parents’ housing, life, and child care policies for unmarried adolescents : effects on self-assessment of parenting : 양육에 대한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p. 226-251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고용 위협과 건강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A scoping review of the impact of negative employment change on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최재연, 신정훈, 유명순 p. 252-272

청년·중년 여성 임금근로자의 위험음주 영향 요인에 관한 종단 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zardous drinking among young and middle-aged female employees : focusing on gender norm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 젠더 규범과 근로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박가영, 김태영, 유수정 p. 273-294

신문기사가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news stories on the public’s attitude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서미경, 이민화 p. 295-314

대형양육시설에서 소규모아동시설로의 업무전환 초기의 보육사 경험 = Caregivers’ experiences in the early stages of transitioning from a large residential childcare facilities to small-scale home-style childcare 김진숙, 정선욱, 정익중, 강희주, 윤은영, 주휘진 p. 315-338

사회보험 가입의 불안정성은 청년의 세대 내, 세대 간 사회이동성을 어떻게 전망하게 하는가? = How does instability in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s affect young people’s views of social mobility within and across generations? 한겨레 p. 339-358

대졸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잠재계층 유형과 영향 요인 =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the latent class of employment preparation among college-graduated unemployed youth : focusing on differences by residential area :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승진, 박지혜, 김소현, 정익중 p. 359-382

공공병원 예비타당성조사의 편익 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review of the benefit assessment in public hospital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 focusing on the case of Ulsan Medical Center’s emergency mortality reduction benefit estimation : 울산의료원 응급사망감소 편익 산정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환, 정백근 p. 383-406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과 성인기 우울 =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nd adult depress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최지희, 채수미 p. 407-428

부모의 미취업이 자녀의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l joblessness on children’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김봉균 p. 429-450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에 대한 환자의 선호 = Patient preferences for the primary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 이산선택실험 구본미, 도영경 p. 451-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