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신학적 실재론의 입장에서 카렌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에 관한 비판적 읽기를 시도했다. 근대 서구 철학 전통의 ‘단독자 개인’이라는 행위자 단위가 실재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바라드는 신유물론적인 ‘얽힘의 존재-인식-윤리’를 제안하였다. 바라드 이론의 주요 개념어들인 인트라-액션, 현상, 회절, 응답-가능성 등을 주목하면서, 이 논문은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기존의 존재론적 해석 전통에 끼친 통찰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사회와 자연, 인간과 비인간, 담론과 물질 등 이항대립적인 존재론적 인식이 존재자들 간의 위계적 서열화를 유도하고 자연, 비인간, 물질에 대한 열등한 시선이나 인간중심적 착취를 수행하게 만들었다는 바라드의 주장을 유의미하게 받아들인다. 그러나 연구자는 ‘얽힘의 존재론’ 안에서는 ‘물질’로서의 인간에게 의미나 의도는 물적 조건으로부터 ‘초월’할 수 있는 존재론적 능력이 차단된다는 것 역시, 실재를 솔직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지점이라고 비판한다. 질량과 크기, 부피를 가지지 않지만 실재하는 존재자(신성)와의 ‘얽힘’이 현재의 억압적이고 불의한 ‘물적 조건들’을 넘어서게 하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피력하면서, 이 논문은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책임윤리의 차원에서 가지는 모호성을 문제 제기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레비나스의 가족극장과 신성한 희극 = Levinas' family theater and divine comedy : a critical reading of Totality and Infinity : 『전체성과 무한』에 대한 비판적 독해 이은정 p. 1-39
사회·지식 운동으로서 액티비즘,그 철학적 함의 = Activism as a social and intellectual movement,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 focusing on H. Marcuse's One-Dimensional Man : H. 마르쿠제의 『일차원적 인간』을 중심으로 박치완 p. 41-77
과타리의 생태미학적 패러다임의 근거로서 배치론 연구 = A study on assemblage theory as the basis for Guattari's ecological aesthetic paradigm : focusing on Spinoza and DeLanda : 스피노자와 데란다를 중심으로 김성하 p. 79-114
조르주 바타유와 공동체의 물음 = Georges Bataille et la question de la communauté : de « Contre-Attaque » à l'Expérience intérieure : ‘반격’에서 『내적 체험』까지 김우리 p. 115-142
얽힘의 존재론과 책임의 윤리 = An ontology of 'entanglement' and the ethic of responsibility : based on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 카렌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을 중심으로 백소영 p. 143-174
키치-인간의 일상성에 대한 디오니소스적 고찰 = Dionysian reflection on everydayness of kitsch-man : focusing on Michel Maffesoli's The Shadow of Dionysus : 미셸 마페졸리의 『디오니소스의 그림자』를 중심으로 박성준 p. 175-206
존재이해의 힘 안에 머무름 = Staying within the power of understanding-of-being : metaphysical being-there in Heidegger's Introduction to Metaphysics : 하이데거의 『형이상학 입문』에서 ‘형이상학적 현존재’ 박일태 p. 209-238
존재론적 해석학과 비판적 해석학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the critical rationalism : focusing on the views on history and society. 3, 역사관과 사회관을 중심으로 박찬국 p. 239-266
플라톤의 『변론』속의 설득의 원리로서의 에토스와 고발문 분석 = Ethos as a principle of persuasion and analysis of the indictment in Plato's Apology 장영란 p. 267-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