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세계화와 더불어 출신국이 다양한 외국인들이 일자리, 결혼 또는 학업 등을 이유로 압축적 경제성장을 이룬 한국 사회로 몰려들고있다. 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중국동포를 비롯한 재외동포, 북한 이탈주민, 유학생 그리고 난민 등의 유입으로 민족적으로 문화적으로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한국은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다문화사회에 이 들에 적응을 돕기 위하여 경제, 건강, 교육, 영양, 정치, 사회문화, 보호 등의 차원에서 이들의 권리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황과 과제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한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화 <파묘>에 나타난 가족주의의 양상 = Aspects of familism in the film <Pamyo> 백소연 p. 4-15
확장된 구조적 폭력과 투쟁의 (불)가능성 = Extended structural violence and the (im)possibility of struggle : focusing on <Moving> : 드라마 <무빙>을 중심으로 김민영 p. 16-28
K-좀비의 새로운 흐름과 타자와의 공존 가능성 = The new wave of K-zombies and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with others : focusing on zombie films since 2016 : 2016년 이후 좀비 영화를 중심으로 김형식 p. 29-45
여성 히어로물에 나타난 모순된 계급 양상 연구 = A study on contradictory class patterns in female superhero stories : focusing on the TV dramas <Strong Woman Do Bong-soon> and <Strong Woman Gang Nam-soon> : TV 드라마 <힘쎈여자 도봉순>과 <힘쎈여자 강남순>를 중심으로 강성애 p. 46-55
사료 속의 백두산(白頭山)과 장백산(長白山), 그리고 압록강(鴨綠江) = Baekdu, Changbai and Amnok in historical records 남의현 p. 57-73
백제 1차 문자자료의 성격에 대하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aekje primary textual data 곽령, 장석 p. 74-85
7세기 백제 도래인 승려 도소(道昭)의 생애와 활동 = The life and activities of Dōshō(道昭), Kudara Toraiins monk, in the 7th century 심경순 p. 86-100
명곡 최석정(明谷 崔錫鼎)의 격물관(格物觀)과 우주관(宇宙觀) = Myunggok Choi Seokjeong's view on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universe : intellectual challenge to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and its response : 조선 후기 성리학에 대한 지적 도전과 그 대응 이원준 p. 101-115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다문화 교육 연구 = Understanding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tudy 김미경, 김성철 p. 116-128
해방기 부산미국공보원과 부산음악사회 = Busan USIS and music field in Bu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남영희 p. 129-144
1950~60년대 월남민의 철원 정착과 삶 = Resettlement and subsequent lives of refugees in Cheorwon during the 1950s and 1960s 이준희 p. 145-155
1980년대 말 대학극 운동과 서울지역대학극연합 =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in the late 1980s and the University Theater Union in Seoul 김태희 p. 156-169
대공장의 스펙터클과 ‘골리앗의 늑대들’ = The spectacle of the great factory and the 'Wolves of Goliath' : affective geographies of industrial cities and Bang Hyeon-Seok's <People of the Hellship> : 산업도시의 정동지리와 방현석의 「지옥선의 사람들」 신현아 p. 170-181
『구운몽』으로 본 서사와 미디어의 문제 = The problem of the narrative and media in <Guunmong> : the process of enlargement of popular read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조선 후기 대중독서 확산의 한 사례 주형예 p. 182-194
<이춘풍전> 이본 연구 = Study on the various versions of <LeeChunPungJeon> 김준형 p. 195-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