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단위의 친숙도나 인지적 맥락이 수리적 정보처리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1에서는 수와 단위가 결합된 두 자극 쌍을 비교하여 더 크거나 작은 값을 나타내는 자극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친숙한 단위로는 화폐(천원, 만원)와 길이(mm, cm)가, 친숙하지 않은 단위로는 기압(hPa, kPa) 단위를 사용하였다. 실험1 결과, 친숙한 단위 조건에서 수리적 정보에 대한 비교 수행이 더 효율적이었다. 실험2에서는 사진이 제공하는 인지적 맥락이 금액과 길이 비교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였다. 사진 자극으로는 화폐와 풍경(자연, 도시) 사진이 사용되었다. 화폐 사진으로 인한 맥락 점화 효과가 금액 정보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가설과는 달리, 풍경과 비교하여 화폐 사진이 제시되었을 때 금액과 길이 비교 수행이 모두 느려지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화폐 사진이 경제적 스트레스 등 돈과 관련된 부정적 사고와 정서를 유발하여 수 정보처리의 효율성을 저하시켰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수 정보처리의 효율성이 숫자와 함께 제시되는 단위의 특성이나 인지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와 같은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수와 단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정보를 독자나 소비자가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리적 정보 제공 방식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unit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context facilitate numerical information processing. In Exp. 1, participants performed a comparison task in which a pair of numerical values (number + unit) were presented. The participants chose the stimulus with the bigger (or smaller) value. Three different units including familiar (currency, length) and unfamiliar (atmospheric pressure) units were used. More efficient performance was observed with familiar units. In Exp. 2, we examined whether picture-induced contextual priming influences the comparison of monetary values or length. Different types of pictures (money, nature, city) were presented to provide cognitive contexts. Contrary to our hypothesis that money pictures will selectively facilitate monetary value comparison, money pictures interfered with both kinds of comparisons. This result may suggest that money pictures can cause negative thoughts and emotions related to economical stress, thereby causing reduction of efficiency in cognitive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numerical information processing can b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 of units or cognitive context. The present study along with future works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of knowledge about optimal ways to present quantitative information (involving units) so that readers or consumers will better process its mea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로 다른 각성 수준의 슬픔과 공포 표정이 공간 정보 기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ad and fearful facial expressions at different arousal levels on spatial memory 이선경, 이윤형 p. 165-176
(The) influence of visual quality and sentence difficulty on sentence context effects in reading speed = 시각질과 문장 난이도가 읽기 속도에서 문장맥락효과에 미치는 영향 Ko Eun Lee, Yun Young Park, Hye-Won Lee p. 177-187
과제 무관 방해 자극이 움직임 추정 시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ask-irrelevant motion on prediction motion task : spatial information as a mechanism for contextual effect : 맥락 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호, 남종호 p. 189-205
단위의 특성과 인지적 맥락이 수리적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unit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context on numerical information processing 임소민, 조수현 p. 207-213
4학년과 6학년 한국 아동의 수량과 면적에 대한 변별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 = The acuities for number, area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ath achievement in 4th and 6th grade Korean children 김민경, 박윤지, 조수현 p. 215-221
의사결정으로 인한 판단 변화와 인지·신경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 개관 = A review of studies on the neurocognitive mechanism of choice-induced judgment change 조수현 p. 223-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