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수량/면적 민감도를 비교하고, 두 민감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역-일반적인 인지 능력의 개인차를 통제한 후에도 수량/면적 민감도가 수학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참가자들은 한 쌍의 점 집합을 본 후, 두 자극 중 점의 수량이 더 많거나 점의 총면적이 더 넓은 자극을 선택하였다. 실험 결과, 각 학년 내에서 수량과 면적 민감도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수량 민감도는 4학년에 비해 6학년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면적 민감도는 학년 간 차이가 없었다. 6학년과 달리, 4학년의 수량 민감도만이 수학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연속적 매그니튜드에 대한 민감도가 수 민감도보다 빠르게 성숙한다는 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한다. 선행 연구 결과와 함께 종합하면, 아동의 수 민감도는 초기 수학 학습에 기여하지만, 더 높은 단계의 수학 문제 해결에는 작업기억과 같은 영역-일반적인 인지 능력이 수 민감도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d number and area acuity between 4th and 6th graders, and examined whether number and area acuity predicts mathematical 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for domain-general cognitive abilities.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 pair of dot arrays and were asked to choose the array with either larger set size (numerosity comparison) or cumulative area (area comparison). Within each grade, number and area acu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lthough, number acu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6th compared to 4th graders. area acuity did not differ between grades. Math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number acuity in 4th, but not in 6th grade.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the acuity for continuous magnitude matures earlier than that for numerosity. Taken together with previous studies, our results suggest that number acuity may contribute to earlier mathematical achievement, but not to higher leve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hich requires more domain-general cognitive abilities such as working memo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로 다른 각성 수준의 슬픔과 공포 표정이 공간 정보 기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ad and fearful facial expressions at different arousal levels on spatial memory 이선경, 이윤형 p. 165-176
(The) influence of visual quality and sentence difficulty on sentence context effects in reading speed = 시각질과 문장 난이도가 읽기 속도에서 문장맥락효과에 미치는 영향 Ko Eun Lee, Yun Young Park, Hye-Won Lee p. 177-187
과제 무관 방해 자극이 움직임 추정 시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ask-irrelevant motion on prediction motion task : spatial information as a mechanism for contextual effect : 맥락 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호, 남종호 p. 189-205
단위의 특성과 인지적 맥락이 수리적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unit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context on numerical information processing 임소민, 조수현 p. 207-213
4학년과 6학년 한국 아동의 수량과 면적에 대한 변별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 = The acuities for number, area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ath achievement in 4th and 6th grade Korean children 김민경, 박윤지, 조수현 p. 215-221
의사결정으로 인한 판단 변화와 인지·신경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 개관 = A review of studies on the neurocognitive mechanism of choice-induced judgment change 조수현 p. 223-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