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무용가들의 역할 및 역량 강화가 지역문화 발전에 미칠 수 있는 영향 관련 연구이다. 이를 위해 안동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무용가들과 인터뷰를 통해 지역무용이 보수적·위계적이란 문제의식과 지역문화 발전의 중심적 역할 그리고 점진적 변화를 이룰 필요역량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자기 내러티브 탐구(self-narrative research)를 통한 연구 설계 그리고 이상적 사례선택(ideal case selection)을 통한 인터뷰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한국의 대학무용교육은 실효성에 대한 위협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으며, 정부의 대학정책으로 인해 지역예술은 고령화되고 있다. 안동지역은 전통문화 보전과 지역 특색을 살리는 문화 발전에 중점을 둔 문화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문화예술의 질적 향상이나 시대적 요구에 맞춘 변화를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한국예총 안동지회 역시 지역예술의 발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젊은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도 부족하였다. 결론: 지역무용가들은 서로 경청하는 자세와 포용력이 지역문화의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역량이라고 지목하였다. 그리고 무용지부 자체 사업을 통한 사회적 기여와 대도시로 나간 지역 출신 젊은 무용가를 안동에 재유입 시키고 이들에게 다양한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물놀이와 동해안 별신굿의 굿거리 및 자진모리 장단 비교 연구 = Study on comparison of Samulnori and Byeolshin-gut in eastern coast in Korea : focusing on Gutgeori and Jajinmori rhythm 강성현 p. 1-24
한국민속춤의 전형화, 달구벌 덧배기춤의 고찰 = The typification of Korean folk dance : a study on Dalgubeol Deotbaegi Dance 고경희 p. 25-46
K-pop을 활용한 초등 무용교육 프로그램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dance education programs using K-pop : focusing on Sour Grapes and The Great Mermaid by Le Sserafim : 르세라핌의 Sour Grapes와 The Great Mermaid를 중심으로 이나희, 차수정 p. 47-72
무용 공연예술에서 무대조명 연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tage lighting direction in dance 권순엽, 박미영 p. 73-102
치매안심센터 무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Basic research to develop a dance program for dementia care centers 신주영, 박혜연 p. 103-128
키트존슨(Kitt Johnson)의 작품 Trailer에 내재된 장소특정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of Kitt Johnson work Trailer 전아름 p. 129-154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지역무용가의 역할과 필요 역량 = The role and necessary competencies of local dancer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 focusing on Andong cultural policy and the activities of Andong branch of FACO : 안동의 문화정책과 한국예총 안동지회 활동을 중심으로 손영민 p. 15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