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배경 및 목적: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타인의 정서, 사고, 바람, 믿음 등에 대한 마음상태를 파악하는 마음이론 발달에 어려움을 보인다. 연구 목적은 ‘대화식 책읽기’ 중재를 통해 이들의 마음이론 관련 마음상태 어휘 산출을 촉진하고 중재 및 일반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방법: 언어연령 5-6세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PEER’ 전략을 적용한 ‘대화식 책읽기’ 중재를 실시하고, 상황그림 평가 과제를 통해 마음상태 어휘 산출 형태를 분석하고 부모보고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일반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대상 아동 모두 중재 이후 기초선 대비 마음상태 어휘의 총 산출 점수, NTW, NDW, 범주 유형 수와 범주 유형별 어휘 다양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유지 효과가 나타났으며, 셋째, 부모보고 체크리스트에서 중재 후 및 유지 단계에서 기초선 대비 마음상태 어휘 다양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마음상태 어휘 산출 촉진에 대한 ‘대화식 책읽기’ 전략의 중재 효과와 일반화 효과를 검증하고, 언어재활 임상현장에서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폐범중성장애 아동들의 마음읽기를 중재할 수 있는 근거를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 민감도 및 특이도 =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Korean-infant and toddler checklist in screening fo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in infants and toddlers 이윤경, 임수아 p. 495-504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에 대한 원격 부모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 연구 =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elepractice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최시현, 홍경훈 p. 505-520
말 언어 문해기초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과 선별 정확도 및 유용성 검증 =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speech language early literacy screening checklist 유해림, 배소영, 엄지목, 하승희 p. 521-533
문해·언어 능력을 고려한 유치원 5세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특성 = Narrative retelling abilities of kindergarteners considering early literacy and language skills 엄지목, 천해인, 장재진, 배소영 p. 534-545
‘대화식 책읽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마음상태 어휘 산출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dialogic reading' on the development of mental state vocabulary in children with ASD 신행림, 홍경훈 p. 546-563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 행동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of school-aged children : the mediation effect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 김정아, 임동선, 김영태 p. 564-577
시간 간격 및 동사 의미적 가중치에 따른 정상 노년층의 동사 유창성 수행력 = Effects of time intervals and semantic weight on action fluency tasks in older adults 이주혜, 이주리, 황령희, 최수진, 성지은 p. 578-591
문장이해과제에서 구문적 복잡성을 통한 어휘발달지연 탐색 = Detection of vocabulary delay through syntactic complexity in sentence comprehension 양윤희, 임동선, 성지은 p. 592-603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 Characteristics of clustering and switching in verbal fluenc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원은선, 최현주 p. 604-617
(The) relationship of word-finding behaviors and nam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단어 찾기 행동과 이름대기 능력 간의 관계 Hayoung Kim, Hyunjoo Choi p. 618-630
5-6세 일반 아동의 말 지각 및 음운표상 능력 = Speech perception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in 5 to 6 year-ol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방하정, 하승희 p. 631-643
말소리장애 아동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비음화 특성 = Characteristics of nasal coarticulation by nasality visualiz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정재만, 우승탁, 하지완 p. 644-652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 = Longitudinal study on the pragmatic language skills during play activitie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who do not stutter 이송민, 심현섭, 이수복, 강진경 p. 653-665
SOVTE 종류에 따른 성대진폭과 성대접촉 속도의 차이 = Comparison of vocal amplitude and contact speed according to SOVTE type 김지성 p. 666-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