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녹조류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국내 양식되는 해조류 중 생산량 대비 생산금액이 가장 높은 고부가 가치 품목이지만 자연채묘에 의존하고 있어 매해 생산량 변동이 심하다. 본 연구는 매생이의 생활사 단계 중 인공 종자로 활용할 수 있는 구상체의 생성 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매생이 배우자낭의 발달과 접합자의 생성은 15°C 이상의 환경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7일간 배양에서 최대 약 35%의 배우자낭 발달을 나타냈다. 접합자의 구상체로의 형성은 5~25°C의 모든 온도 조건에서 7일 이내 유도되었지만, 30일간 배양했을 때 20°C 이상의 조건에서는 엽체로 발아하는 특성을 보였고 15°C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었다. 15°C에서 형성된 구상체는 25°C 조건으로 옮겼을 때 높은 생장률을 나타냈으며 세포 내부에 유주자가 성숙하였다. 구상체의 생성에는 수온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특히 구상체의 형성과 생장에 단계적인 온도 상승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구상체 생성 조건은 인공종자 생산에 활용될 수 있으며, 매생이의 효과적인 양식을 위한 인공채묘 및 완전양식 기술의 기반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카메라 트래핑을 활용한 진관동습지의 조류 및 포유류 종다양성 모니터링 = Monitoring bird and mammal diversity using camera trapping in Jingwan-dong wetland 박지윤, 강유진, 송영근 p. 219-231
엽록소 형광 기술을 활용한 배나무 화상병 방제 약제 효과 분석 = Effectiveness of bactericide for controlling fireblight of pear tree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technology 엄태선, 심지영, 장승연, 황예빈, 유성영, 최종윤, 김태완 p. 232-240
(A) report of 45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Yeongsan River basin in Korea Sanghwa Park, Seok Won Jang, Soo-Yeong Lee, Ja Young Cho, Jung Hye Eom, Eui Jin Kim p. 241-257
Distribution pattern of a new record crustose red alga, Lithophyllum neo-okamurae (Corallinales, Rhodophyta), in Korea Gwan Woung Kim, So Young Jeong, Boo Yeon Won, Tae Oh Cho p. 258-266
한국 연안에 출현하는 Aidanosagitta crassa 형태 유형에 따른 분류학적 고찰 및 계절별 출현 특성 = Season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Aidanosagitta crassa morphotypes in coastal waters of Korea 추서휘, 정만기, 서민호, 정영석, 박종준, 신아영, 서호영 p. 267-278
Description of Philodromus rufus Walckenaer, 1826 with a new synonym (Araneae: Philodromidae) from Korea Chang Moon Jang, Jung Sun Yoo, Seung Tae Kim p. 279-287
(A) report on 22 unrecorded Actinomycetota species isolated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Soo-Yeong Lee, Jaeduk Goh, Ahyoung Choi p. 288-300
칼납자루(Acheilognathus koreensis)의 서식처별 생태특성 및 건강도 차이 = Difference i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of oily bitterling(Acheilognathus koreensis) among habitats 이선호, 최보형, 허승, 홍창기 p. 301-310
생태계교란 생물인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의 서식 환경에 따른 먹이원 섭식 특성 분석 = Analysis of food source feeding characteristics of Lepomis macrochirus an invasive specie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김재훈, 김지윤, 오상혁, 안광국, 이종은 p. 311-324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의 인공종자 생산을 위한 구상체 형성 및 생장 조건 분석 = Optimal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cyst-zygote for stable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Ulvophyceae, Chlorophyta) 이지웅, 유현일, 황은경, 김승오 p. 325-331
국내 거짓쌀도둑거저리의 포스핀 감수성 평가 및 포스핀 저항성 관련 유전자인 dld와 cyt-b5-r의 발현량과 점 돌연변이 분석 = Assessment of phosphine susceptibility and genetic analysis of dld and cyt-b5-r expression and mutations in Korean Tribolium castaneum 김동현, 양진욱, 박준영, 김봉수, 김준란, 이성은 p. 332-344
브라운송어(Salmo trutta)의 먹이원 분석과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 Study on food sources of brown trout(Salmo trutta)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utilized as food sources 김재훈, 윤영진, 배대열, 노희원, 권혁영, 김수환, 안광국, 이종은 p. 345-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