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인간의 자율성을 도덕교육의 목표로 여긴 칸트가 강제를 방법론적으로 강조하는 역설적 상황을 확인하고, 칸트의 논리 체계 속에서는 이러한 역설적인 상황들이 서로 모순되지 않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칸트의 󰡔교육론󰡕 뿐만 아니라 여타 텍스트에서 드러난 훈육의 단계에 집중하여 도덕적 습관화와 자기 강제의 개념을 구분하여 검토해보았다. 그리고 아직 제대로 된 이성의 능력이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의 역량에 이성의 개발을 위해 적합한 방식인 도덕적 문답법을 도덕교육적 역설의 해소 방안으로 제안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칸트의 훈육 단계가 문화화, 도덕화 단계와 분절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동등하게 중요한 단계임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초등 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덕 윤리의 특성과 도덕 교육의 덕의 관점의 상관성 = The characteristics of virtue ethic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virtu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장동익 p. 171-196
사이버네틱스의 초등AI윤리교육 필요성과 활용 방안 =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of cybernetics in elementary AI ethics education 박형빈 p. 29-54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 “인공지능 로봇과 친구가 될 수 있을까”에 대한 비판적 탐색 = Critical review on the content element “Can AI robots be our friends?” in moral subject curriculum 이정렬 p. 79-105
안보통일교육의 초등 도덕과 교육 적용 = Application of security and unification education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박찬석 p. 225-252
덕 윤리의 관점에서 사회구조적 도덕성의 의미와 작용양상 규명 = Identificati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social structural morality from the virtue ethics perspective 남궁환, 이인재 p. 143-170
웰에이징과 세대 간 윤리 = Well-aging and intergenerational ethics 김명식 p. 55-78
통감 시기 초등용 수신교과서의 내용과 성격 = Study 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of the self-cultivation in modern elementary school used during the period of the Residency-General : focusing on Chodeungsohak and Chodeungsusin : 「초등소학」과 「초등수신」을 중심으로 김민재 p. 107-142
도덕교육에서 하이데거적 물음의 의미 = The significance of Heideggerian questioning in moral education 배소현, 변순용 p. 325-355
공적 이성(Public Reason)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 A study on public reason and its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John Rawls : 존 롤스(J. Rawls)의 논의를 중심으로 강수정 p. 197-223
칸트의 도덕교육과 도덕교육적 역설에 대한 논의 = Discussion of Kant's mor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paradox 이두연 p. 301-324
맹자의 심(心)·기(氣) 관계에 담긴 도덕교육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Xin(心) and Qi(氣) in Mencius' philosophy 배병대 p. 253-277
의사사회 접촉 이론(parasocial contact theory)에 기초한 도덕과 통일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moral unification education strategies based on parasocial contact theory : focusing on cultivating anti-prejudice awareness : 반편견 의식 함양을 중심으로 권누리 p. 1-27
생성형 AI의 윤리적 문제와 도덕 교육적 극복 방안 = Ethical problems of generative AI and ways to overcome them through moral education : focusing on large language models : 거대 언어모델을 중심으로 허진웅 p. 279-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