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本稿は、明治期と戦後の小説作品(各10作品)を取り上げ、地の文に表れる状態表現のテンス形式を考察した。考察の結果としては、まず、明治期小説の地の文では、戦後小説に比べて現在形テイルによる状態表現が多いことが確認できた。一方、戦後小説の地の文では、過去形テイタによる状態表現が遥かに多い比率を示している。

具体的には、明治期(特に初期言文一致期)では、話し手の視点にせよ登場人物の視点にせよ現在形を用いて観察される状態をそのまま描写することが主流であった。それに対し、戦後小説では、語り方の手法が比較的に固定化されて、語り手の視点から語られる状態表現には物語の主導時制である過去形テイタの出現が極めて著しい。

まとめると、近代書き言葉の成立と伴い、語り方において登場人物の視点ということを意識するようになって、全ての地の文の状態表現が過去形テイタにはなっていないが、戦後に至っては地の文の中での現在形テイルの使い方が限られてき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타자발화 반복의 대화 참여 및 감상 표시 기능 = The functions of repeating others' utterances to indicate participation and appreciation : 한일 양국어의 일상대화 분석을 통해 장윤아 p. 119-136
『日本語教育語彙表』における語の使用傾向の変化とその考察 = 일본어교육어휘표에서의 단어 사용 경향 변화와 그 고찰 : 外来語に見る動向と多角的視点 : 외래어에서 보는 동향과 다각적 시각 岸本まりこ p. 15-31
『アグニの神』論 = A study on Agninokami by Akutagawaryunosuke 金煕照 p. 151-160
일본제국 전쟁에 호명받은 조선 식민지인 = A study on the colonial Koreans used in the Japanese Empire's war : focusing on educational, social, and cultural medi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기의 교육·사회·문화매체를 중심으로 사희영 p. 161-184
일본어 수업에서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 A study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Japanese classes : through the habruta method of learning : 하브루타 학습법을 통해 김은영 p. 1-13
L1일본어모어화자의 추량·양태표현의 습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the guess and mode expression of L1 Japanese native language speakers :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acquiring 'yo-da/mitaida' by Japanese infants : 일본인 유아의 「ようだ·みたいだ」의 습득과정에 주목하여 최연주 p. 45-69
1950년대 출판 미디어와 사카구치 안고의 추리소설 = 1950s Publishing media and Sakaguchi Ango's detective novels : focusing on middlebrow fiction magazines : 중간소설 잡지를 중심으로 한정선 p. 185-196
明治·大正期資料おける認識系の叙法副詞類の文体的な出現傾向 = Stylistic features and the usage of Japanese epistemic adverbs of certainty in the Meiji and Taisho period texts 林禔映 p. 109-117
意味地図はヴォイス形式の対照分析に有効なのか = 의미지도는 태(態)형식의 대조 분석에 얼마나 유효한가 : 일한 양언어를 중심으로 : 日韓両語の場合 鄭宇鎭 p. 137-150
地の文での状態表現のテンス形式の使用様相 = 소설 지문에 나타나는 상태표현 시제형식의 사용양상 : 메이지기와 전후 3인칭 소설을 대상으로 : 明治期と戦後の3人称小説を対象として 李慶旼 p. 89-107
타동성과 「변화동사+ている」의 상(相)적 의미 = A study on the relevancy between transitivity and aspectual meaning of 'accomplishment verbs(「結婚する」「一瞥する」)+ている' :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 일본어 교육적 관점에서 「結婚する」, 「一瞥する」를 중심으로 안평호 p. 33-44
우치다 로앙(内田魯庵)의 “社會百面相”에 나타난 여성어 연구 = A study on feminine language in Uchida Roan's "Syakai-Hyakumensou" 방극철 p. 7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