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국내 4년제 A대학의 일본어 전공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학습 동기 저해 요소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교육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 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가장 많이 저해하는 요소는 일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자신감 부족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자 및 경어 사용의 어려움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일본어 학습의 강제성, 부적절한 학습 환경, 교수, 학습 그룹에 대한 태도, 학습교재, 일본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순으로 동기 저해 요소를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는, 여학생과 3학년 학생들이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동기 저해를 경험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일본어 학습 흥미도에 따른 학습 동기 저해 요소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신감 부족 요소는 일본어 학습 흥미도가 50%인 학생들 사이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일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일본어 학습 흥미도가 25%인 학생들 사이에서 크게 나타났다. 학업 성취도 면에서는, 전체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이 높은 학생들보다 학습 동기 저해를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주로 교수 요소에서,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자신감 부족과 일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학습 동기 저해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자신감 증진을 위한 비교과 활동 활성화, 맞춤형 학습 방법 및 수업 운영 등의 교육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人間中心のAI教育 = Human-centered AI in education : through the founding of "Association for AI and Creative Learning (AI-CL)" and practice : AIとクリエイティブ・ラーニング研究会(AI-CL)の創立と実践を通して 検校裕朗 p. 41-56
JOPTの今後の可能性を探る = An exploration of the future possibilities of JOPT : based on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OPI and JOPT : OPIとJOPTの比較検証を基に 小島堅嗣 p. 57-71
교양 일본어 학습자 요구 분석 및 수업 실천사례 연구 = Analysis of the needs of liberal arts Japanese language learners and a case study : focusing on learner-participatory classes and classes taking personality types into account : 학습자 참여형 수업 및 성격유형을 고려한 수업방식을 중심으로 金善姝 p. 73-89
日本語学習における生成AIチャットボットの使用実態 = The actual use of generative AI chatbots in Japanese language learning 三國喜保子, 諏訪昭宏 p. 91-106
대학 교양 일본어 수업의 학습자 요인 = Motivation for learning Japanese at Korean colleges : comparison by class level and grade : 수업 레벨 및 성취도별 동기, 니즈 대조 白以然 p. 107-123
継続的に研究会に関わる教師の教育観と研究会の意義 = The significance of study groups and the educational views of teachers wh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m : analysis of interviews with a Japanese language teacher living in Thailand who continues to participate in an online study group : タイからオンラインで参加する日本語教師の事例分析 芹川佳子 p. 125-137
한일 양국에서의 한국 기업 및 상품광고의 표현전달기법 = Techniques for conveying expressions in the advertisements of Korean companies and products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period from 1980 to 2003 : 1980~2003년의 시기를 중심으로 宋殷美 p. 139-158
学習者中心からみた相互評価の実践と課題 = Learner-centered mutual assessment practices and challeng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learners' consciousness in Japanese conversation classes : 日本語会話授業における学習者の意識変容分析を中心に 鮱名美幸 p. 159-177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양일본어 수업 설계 및 평가 = Design and evaluation of a liberal arts Japanese language course using the metaverse : blended learning combining ZEP and classroom learning : ZEP과 교실 내 학습을 융합한 블렌디드 러닝 李賢珍 p. 179-197
일본어 학습 동기 저해 요소 분석 및 교육적 전략 탐색 = Analysis of demotivational factors in learning Japanese and an exploration of educational strategies 任洙珍, 金義泳 p. 199-214
한중일 불만표명에 대한 의식조사 = A survey on awareness of dissatisfaction express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characteristics by degree of burden and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 부담도 및 상하친소관계에 의한 특징을 중심으로 鄭賢兒 p. 215-231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한자 문항 연구 = An analysis of the 'Kanji' sect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apanese I' : ‘2015 개정 교육과정 일본어Ⅰ’을 중심으로 趙大夏 p. 233-247
視覚障害をもつ韓国人日本語学習者への日本語教育に関する一考察 = A study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or a Korean learner of Japanese with visual impairment : through an interview with a blind learner : 全盲の学習者へのインタビューを通して 本多美保, 庾炳富 p. 249-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