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과용 도서’로서 도입되는 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성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study of the legal status of AI digital textbooks scheduled for introduction as 'textbook' 김범주 p. 1-29
K대학교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the measure for 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in K university 김효은, 김도기 p. 31-58
정책·거버넌스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 탐색 = Exploring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the field of policy and governance : focusing on hybrid governance and policy : 혼성 거버넌스와 정책디자인을 중심으로 박선형 p. 59-90
교육생산함수를 활용한 디지털 자본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n educational production function 김유정, 황재운 p. 91-119

비판적 담론분석의 교육행정 및 정책연구에의 적용 = The application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research : exploring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 가능성과 제약의 탐색 신현석, 박수아, 최상훈 p. 121-162
고교학점제 정책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교총과 전교조의 정책 입장 및 신념체계 분석 = The analysis of policy positions and belief systems of KFTA and KTU in the process of form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 focusing on ACF's belief system : ACF의 신념체계를 중심으로 조정윤, 김도기 p. 163-186
예비교사의 이론적 교수역량과 실천적 교수역량의 수준 및 유형 = Levels and profiles of pre-service teach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박소영, 장나영 p. 187-212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상호적응 집행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mutual adaptive implementation process of basic academic guarantee 김수진, 우명숙 p. 213-242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김리나, 김샤론, 박가은, 엄문영 p. 243-270
정서적 아동학대의 법적 개념 확장과 교사들의 감정 그리고 대응기제 = The legal expansion of the concept of emotional child abuse and teachers' emotions and response mechanisms 이종승, 김용 p. 271-298
국립대학 통합사례 분석 = Analysis on a merger case of national universities : a complex adaptive systems perspective : 복잡적응계 관점 김보엽 p. 299-330
대학의 학과칸막이 개념 탐색과 적용 = Exploring academic silos in universities : toward organizational flexibility in higher education : 학사제도 유연화의 가능성 박혜연 p. 331-364
중학교 교사의 교직 입직동기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전문성 개발 활동 간 관계 분석 = Teachers' motivational typologies, their determinants, and the relationship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김지선, 박세준, 심현기 p. 365-385
알파세대 등장에 따른 초등교육 3주체의 상호작용 분석 = Analyzing the interaction of three educational actors as generation alpha emerges in elementary schools 황정훈, 권수진, 오성영, 엄문영 p. 387-426
제주 IB 학교의 학교변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chool change experience of Jeju IB school : focusing on the teachers at high school A : A 고등학교 교원을 중심으로 홍지환, 오승천, 황현철, 이인회 p. 427-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