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재 교육 분야의 포스트휴먼 관련 연구의 지형과 내용적 특징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4년 3월까지 한국 학술 저널에 출판된 포스트휴먼 관련 교육 연구를 대상으로 양적 동향 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동향 분석 결과, 교육 분야 내 포스트휴먼 연구는 2019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최근 5년 사이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포스트휴먼 연구가 교육학 전반으로 확산되었으며, 경험연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내용 분석 결과, 포스트휴먼 교육 연구에서 ‘포스트휴먼’은 ‘시대적 배경’ 또는 ‘새로운 사유’로 위치되었다. 포스트휴먼을 시대적 배경으로 위치시키는 교육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과학・기술이 야기한 변화에 강조점을 두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적 논의를 끌어내는 경향이 있는 반면, 포스트휴먼을 새로운 사유 측면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은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교육을 접근하는 방식을 재고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예술교육, 유아교육, 교육학 일반 분야에서 포스트휴먼을 통해 감응교육에 대한 관심, 어린이와 놀이 및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재고, 학습관과 지식관에 관한 재지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최근 증가되고 있는 교육 분야의 포스트휴먼 경험 연구에서는 방법론이 교육 현상의 재현을 넘어, 연구를 통한 새로운 대화 촉발에 초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방법적 도구의 적용을 넘어 다양한 실험들이 고안되고 활용되는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휴먼 교육 연구 내에 존재하는 차이를 이해하고 지나친 기술결정론으로 그 흐름이 흘러가는 것을 경계할 필요성, 그리고 포스트휴먼적 사유에 기반한 방법론적 논의를 확장할 것이 제안되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