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유・초연계 이음학기 시범유치원을 운영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초 이음교육의 경험이 어떠한지 알아봄으로써, 유・초 이음교육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추진하는 유・초연계 이음학기 시범유치원 사업에 선정되어 유・초 이음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초 이음교육의 실제는 ‘유아와 초등학생에게 성장의 기회를 주는 유・초 이음교육’, ‘근무기관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유・초 이음교육’, ‘학부모의 불안감을 신뢰감으로 바꾸는 유・초 이음교육’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사가 바라는 유・초 이음교육의 방향은 ‘행・재정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유・초 이음교육’, ‘기관 대 기관으로 연결되는 유・초 이음교육’, ‘예비교사 양성과정부터 출발하는 유・초 이음교육’으로 드러났다. 결론 및 제언: 이를 통해 교육구성원 차원에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그리고 학부모가 긴밀하게 소통하고, 교육기관 차원에서 교육청이 양 기관을 이어주는 허브 역할을 제공하며, 지역사회 차원에서 유・초 이음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대학 양성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휴먼 교육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 Trends and content analysis of posthman education research 이연선, 류영휘 p. 75-95
교육정책 문서에서의 돌봄 담론 분석 = Analysis of care discourse in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손유진, 서보순 p. 27-50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 comparison between FGCS and CGCS : 대학진학 첫 세대와 후속 세대 간 비교 강수현, 김동화 p. 97-122
수학불안과 성취의 관계에서 끈기의 조절효과 = A moderating effect of persis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 anxiety and achievement 조은혜, 임효진 p. 123-144
중학생 시기 학업적 자아개념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이의 종단적 관계 =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during middle school : application of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최희철, 강혜진, 김영미 p. 145-167
교사-학생 관계에서 좌절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체험분석 = An experiential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ustration experiences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오주연, 이재용 p. 169-196
교육적 관점에서 주목하는 메타버스 속성과 실천 과제 = Educational perspectives on metaverse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hallenges : an ethnographic approach through educators' metaverse focus groups : 교육 활동가들의 메타버스 집담회 참여를 통한 문화기술지적 접근 강주현, 허나원, 정연숙 p. 1-26
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초 이음교육 = Connected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 : focusing on Busan City's pilot kindergartens : 부산시 유·초연계 이음학기 시범유치원을 중심으로 김은주, 김정미, 이진아 p. 51-74
유아와 찰흙의 내부-작용에서 놀이에 대한 탐구 = A study on play through the intra-actions between children and clay 함선경, 류미향 p. 197-222
예비 특수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ICT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의 매개 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ICT teaching efficacy amo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김정은 p. 223-238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배려의 종단매개효과 =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김민정, 염혜선 p. 239-259
대학생의 경험학습·협력학습·탐구학습 척도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scale for experience, collaboration, and enquiry bas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권다남, 배예나 p. 261-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