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모빌리티 산업은 AI를 비롯한 기술의 발달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분야는 전세계적으로 투자 및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모빌리티 내 공간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으로 새롭게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 콘텐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학술적 연구 측면에서 모빌리티 분야 관련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술적인 측면에 국한되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빌리티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콘텐츠 중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련 분야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모빌리티 주행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콘텐츠 활용 유형을 주행 준비 단계, 주행 단계, 주행 완료 단계로 분류한다. 각 유형에 포함되는 인공지능 활용 모빌리티 콘텐츠의 사례를 각 콘텐츠의 사용된 인공지능 기술과 특징과 주 사용 대상, 제공 형태에 따라 특성 및 유형을 분석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나리오 기반 인공지능 활용 모빌리티 콘텐츠를 3가지 유형인 주행 준비 단계, 주행 단계, 주행 완료 단계로 분류하였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행 준비 단계의 경우, 제공 형태는 어플을 통한 방식이 많았다. 콘텐츠의 경우 개인에 맞는 설정을 제공하거나 정보 제공이 주요 목적으로 개인화 콘텐츠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주행 단계는 운전자를 위한 콘텐츠의 경우, 운전 보조를 위한 정보 제공이나, 차량 내 서비스를 손이나 시각적 이동 없이 음성을 통해 보조해 주는 정보 전달 콘텐츠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동승자를 위한 콘텐츠의 경우 개인의 관심사에 맞춰 시각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유희 콘텐츠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주행 완료 단계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여러 매체와 형태로 콘텐츠가 제공되며, 휴식이나 유희를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례가 많아 유희 콘텐츠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공간음향, AR 등과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강화되고 있는 유형이다. (결론) 모빌리티 공간 내 이용자의 요구 사항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각적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사례 분석을 통해 현재 모빌리티 콘텐츠의 경우, 단순한 정보 전달 콘텐츠에 머무르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산업, 예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동시에 미래에도 주행이라는 부분은 모빌리티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이다. 그러므로 주행과 관련된 모빌리티 콘텐츠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현재 운전석의 형태가 아닌 유기적인 형태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하는 모빌리티라는 새로운 공간 속에서 활용될 콘텐츠나 콘텐츠 제공 방식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bility industry is experiencing rapid growth owing to advancements in AI and other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has attracted significant global investment and research attention. As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evolves, the interior spaces of vehicles are transforming into multifunctional spaces where a variety of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This shift emphasize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obility content designed to utilize these newly available spaces. Despite extensive academic research in the mobility sector, much of it remains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I-based content for use in mobility environment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guide future research and innovation in this emerging field. (Method) This study classified the use of mobility content into three key stages based on driving scenarios: pre-driving, driving, and post-driving. At each stage, AI-based mobility content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specific AI technologies employed,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target user group, and form in which the content was delivered. This study used various case studies to provide examples of how AI is integrated into mobility content during these phases, and to identif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type of content. (Results) AI-based mobility content was identified in the three phases outlined above. In the pre-driving phase, content is typically delivered through applications that offer personalized settings and information, classifying it as personalized content. During the driving phase, the content for drivers focuses on providing assistance, either by delivering useful information or allowing voice-controlled access to services that fall under the information delivery category. For passengers, AI-based content provides entertainment experiences tailored to individual interests and is classified as entertainment content. In the post-driving phase, AI-generated content supports relaxation and enjoyment. This study notes that an increasing amount of content is becoming multisensory, incorporating technologies such as augmented reality and spatial audio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Conclusion) As user demand within mobility spaces continues to diversif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meet these evolving needs.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indicates that current mobility content is largely limited to simple information delivery with limited interactive or immersive elements.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velop new content experiences that integrate insights from other industries, including the arts, to facilitate more sophisticated interac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riving, an essential component of mobility, may evolve from traditional driver-centric setups. Therefore, continued research on more organic and flexible content delivery methods within an evolving mobility space is necessar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xploring new content types and experiences, as mobility environments change rapidl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study on image perception of ice-snow tourism using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빙설관광 이미지 지각에 관한 연구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Jilin Province, China Wang, Min jie, Lee, Su young p. 11-22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북촌 방문객의 장소애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lace attachment of Bukchon visitors using ego network analysis 주연이, 정진우 p. 23-35
세종시 도시상징광장 공간특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specialization strategy for city representative square in Sejong City 지남석, 백한열 p. 37-50
파빌리온의 기호 체계 활용에 대한 연구 =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symbolic systems in pavilions : focusing on pavilions, furniture, and fashion design in the MPavilion project : 엠 파빌리온 프로젝트 중 파빌리온, 가구, 의상 디자인을 중심으로 심서영, 윤성호 p. 51-62
충북혁신도시 초등학교 접근성 및 공간적 형평성에 대한 연구 =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accessibility and spatial equity in Chungbuk Innovation City 황의현 p. 63-71
중국의 노인 적응성 거주공간 디자인에서의 스마트 홈 응용 연구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smart home technology in the design of age-friendly residential spaces in China 주창호, 최익서 p. 73-86
어린이 감각체험 공간 디자인 제안 = A design study on the sensory experience space for children 이옥요, 안기현 p. 87-97
세계화 속의 지역 박물관 = Regional museum design in a globalized world : a study on place attachment strategies for museums in China : focused on small and medium-sized museums in northwest China : 중국 지역 박물관의 장소 애착 전략 연구 : 중국 서북부 중소형박물관을 중심으로 장령옥, 이경미, 나일민 p. 99-112
근거이론 기반 메모리얼 뮤지엄의 전시 체험 영향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hibition experience of a memorial museum based on grounded theory 번소계, 최익서 p. 113-125
색채심리의 매개효과가 PTSD 치유 효과에 미치는 요인 연구 = The mediating effect of color psychology on the healing of PTSD : focusing on PTSD healing spaces : PTSD 치유 공간을 중심으로 장한, 이정교 p. 127-141
신체 움직임을 유도하는 미술관 디자인 요소 분석 = Analysis of design elements in art museum to induce body movement based on active design and Merleau-Ponty's concept of embodiment : 액티브 디자인과 메를로-퐁티의 신체성 개념을 기반으로 이승희 p. 143-155
유니버설 디자인 이론에 따른 중국 도시 고속철도역 대합실의 적용성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of universal design for waiting halls of urban high-speed railway stations in China 장자루이, 권영재 p. 157-169
교육콘텐츠로서 유니버설디자인 메타버스체험관의 학습효과에 대한 형성적 평가연구 = Formative evaluation of universal design metaverse experiential pavilion in educational contents’ perspective 이연숙, 최주영, 박서희, 조승연, 이진국 p. 171-184
건축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 심사의견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review opinion for certification of a building's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최준호, 이광현 p. 185-194
지역성 기반의 제석산 수석공원 조성 디자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Jeseoksan Stone Park based on regionality 박정아 p. 195-206
서비스 지원형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for service-supported senior welfare housing welfare facilitie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ntinued residence in the community : 지역사회 지속거주 개념을 중심으로 문자영 p. 207-221
가상공간에서 인지적 어포던스 요소가 사용자의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gnitive affordance elements on the user's immersion in virtual space 김주영, 임선희, 김주연 p. 223-234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새로운 주민센터 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new community center space as a community space : focusing on user experience design :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임혜선, 김연정 p. 235-248
바이오필릭 기반의 치유공간 서비스스케이프 연구 = A study on biophilic-based healing space servicescape 김세련, 이현성, 김주연 p. 249-259
디자인 진흥을 위한 특화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specialized facilities for design promotion 이송희, 최익서 p. 261-272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에 따른 보행성 변화 고찰 = Changes in walkability due to the great Han-river project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rapid integration plan for Apgujeong apartment district and Seongsu strategic district : 압구정아파트지구 및 성수전략지구 신속통합기획(안) 적용 여부를 중심으로 장영, 유석연, 권익현, 이재인, 이은결 p. 273-287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근대건축유산에 대한 대중 인식 분석 = An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on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text mining 박종혜 p. 289-299
무인 자율 자동차에 대한 긍·부정 유튜브 동영상의 시청자 인식 유형 = Types of viewer percep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YouTube videos about autonomous vehicles 손경덕, 김현석 p. 301-313
집중호우에 대응하는 공간디자인 방안 = Spatial design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heavy rainfall : focusing on the design proposal for the Hannover region in Germany : 독일 하노버 지역의 디자인 제안을 중심으로 이희재 p. 315-324
노후 계획도시의 공간구조 개선을 고려한 아파트 리모델링 설계 = Apartment remodeling design for the restructuring of ageing planned cities : targeting on Yeonsu district, Incheon : 인천 연수구 노후 택지지구를 대상으로 김하민, 유영수 p. 325-334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에 따른 패션 브랜드 매장의 커스터마이징 경험디자인 전략 연구 = A study on customization experience design strategies of fashion brand stores according to mass-customization types 김나연, 이재규 p. 335-349
JTBC 사옥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요소에 대한 계획적 접근 방식 분석 = Analysis of planned approach to communication activation factors in JTBC's office building 이재영, 이재영 p. 351-360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가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VMD components of flagship stores applying experiential marketing : focusing on the Gentle Monster brand : 젠틀몬스터 브랜드를 중심으로 정가을, 이정교 p. 361-375
매슬로 욕구 단계 이론 기반 노인 적응성 거주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adaptable residential space for the elderly based on Maslow's desire stage : with a focus on the case of China :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주창호, 최익서 p. 377-390
AHP에 기반한 뉴트로 카페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new-tro coffee shops based on AHP 한옥석, 위녕 p. 391-401
국내 도심 복합상업시설의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of urban commercial complexes : focus on indoor common spaces : 내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최예지, 김한규 p. 403-415
공공행정 업무시설의 개방형 공간디자인 적용효과 분석 = An application effect analysis of open type space design for public government office 이석현 p. 417-429
커뮤니티 시설을 중심으로 본 공동주택의 폐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losed trend of apartment complexes focusing on community facilities : focusing on apartment complexes after 2021 : 2021년 이후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김한수, 김용성, 송석재 p. 431-444
공공미술 프로젝트 조성과정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lement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public art projects 유아문, 이현성, 김주연 p. 445-458
관계적 시간성 기반 공공휴게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rest areas based on relational temporality : focused on Melbourne cases : 멜버른 사례를 중심으로 김소현 p. 459-470
디지털 트윈 시각화 유형에 따른 정보의 모듈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modul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digital twin visualization types : focused on the Australian case : 호주 사례 중심으로 김현철, 한정엽 p. 471-479
도시 열섬 현상 완화를 위한 입체녹화의 기온 저감 효과 분석 = Design of the re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이신영, 김용성, 이남규 p. 481-495
사용성 휴리스틱스를 적용한 비물리적 디지털 공간에서의 상호작용 원칙 제안 및 평가 = Proposal and evaluation of interaction principles in non-physical digital spaces using usability heuristics : focusing on Zoom : 줌(Zoom)을 중심으로 심민섭 p. 497-508
성수동의 도시조직 변화에 따른 상업가로의 3D Isovist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3D isovist analysis of commercial streets according to urban morphological changes in Seongsu-Dong 함유선, 김용성, 송석재 p. 509-52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연구 동향 분석 = A research on trends of design research on social problem solving :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ocial problem solving design projects : 서울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사업을 중심으로 윤서연, 이현성 p. 525-534
2000년대 이후 시행된 전통시장 현대화 사례에 나타난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lace identity in modernization cases of traditional markets after the 2000s 차예지, 이재영 p. 535-548
공공미디어 Life-Centered Design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applying life-centered design in public media 이보아, 이현성, 김주연 p. 549-559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 충전소 이용행태에 따른 IPA 분석 연구 = A study on IPA analysis on the use behavior of battery shared station for electric motor vehicles : based on EM-BSS in Seoul : 서울시 EM-BSS를 중심으로 박정아 p. 561-572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 기반 중국 향촌 공공 의식 공간의 재구축 디자인 전략 연구 =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design strategies of rural public ritual spaces in China based on actor-network theory : a case study of the investigation of relevant actors in the ritual environment reconstruction of Nanqiang Village, Hainan : 해남 남강촌 의식 재구축 과정과 관련된 행위자 조사를 사례로 황방연, 이선정 p. 573-586
카노 모델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 공간에서의 멀티모달 체험의 요구사항 연구 = A study on the requirements of multimodal experience in museum exhibition spaces using the Kano model 장선혁, 이정교 p. 587-600
가상 전시관에서 발생하는 소실선의 미시 권력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micro-power analysis of vanishing lines in virtual exhibition hall : interpret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line virtual exhibition hall cases from an perspective of ANT : 국내외 온라인 가상 전시관 사례를 ANT 관점 해석으로 김백준, 한정엽 p. 601-610
도심 가로의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공공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lements of public design for the creation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the street of the city 박하진, 백승경, 김주연 p. 611-619
생성형 AI 기술기반 영상제작 수업을 위한 PBL 교육방안 = PBL-based educational approaches for video production using generative AI : focusing on the video production process : 영상제작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고재형, 한정엽 p. 621-628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 공간의 서사성 디자인 연구 = Research on the narrative design of Chinese industrial heritage museum space : focusing on the visitors : 관람객을 중심으로 노박문, 최경란 p. 629-642
주행 시나리오 기반 인공지능 활용 모빌리티 콘텐츠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I-based mobility content in driving scenarios 허화영, 한정엽 p. 643-651
상호결정론 기반 사회문화적 복합공간의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design of sociocultural complex space based on reciprocal determinism 박하진, 백승경, 김주연 p. 653-662
서울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uses for closed school facilities in Seoul 박수민, 김용성, 이남규 p. 663-676
LA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network system in public libraries in LA 박지훈 p. 677-686
도시재생 경제조직 성과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urban regeneration economic organizations : focusing on community regeneration corporations (CRC) in Seoul : 서울 도시재생기업(CRC)을 중심으로 이명훈, 김세용 p. 687-700
미디어아트 구독서비스 모델의 활용 가능성과 비교실험 연구 =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n applicability of media art subscription service model : focused on the cases of VIDO and sedition art : 국내외 사례 중심으로 문선우, 김정기 p. 701-710
도시 농업의 적응성에 기반한 지속 가능한 도시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le urban spac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daptability of urban agriculture 이통, 이재규 p. 71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