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평생교육의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경기도 G시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이하 DD평교센터)의 성과와 성공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이해관계자 대상의 FGI 녹취록, 지역 유관기관 실무자 설문조사 자료, 신문기사 등 다양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영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주요 성과로는 발달장애인의 인지기능 유지 및 향상, 정서적 안녕 증진, 도전적 행동 감소(이용자차원), 양육스트레스 감소, 가족갈등 감소 및 화목한 관계 증진, 미래에 대한 희망 발견(가족차원), 지역거점센터로서의 위상 확립, 지역네트워크 기반의 새로운 DD평교센터 모형 제시(기관차원)가 확인되었다. 성공요인으로는 사회통합과 이용자중심 철학에 기반한 기관 운영과 서비스, 상호존중과 열린소통이 뿌리 내린 기관 문화, 사회복지사로서 소양과 자질을 갖춘 헌신적 종사자, 신뢰에 기반한 이용자(가족)-기관 관계, 유관기관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협력 사업, 지역자치단체의 관심과 지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DD평교센터의 운영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 청년의 경제적 어려움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 Longitudinal study on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the mental health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s of exercise and interpersonal skills : 운동,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허경화, 백은령 p. 5-43
한국의 탈시설화 과정에서 장애인 인권 경험 연구의 질적 내용분석 =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studies on human rights experien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김미숙 p. 45-78
한국 장애수당의 추가비용 보전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additional cost compensation of Korean disability allowance 김창현, 송지현 p. 79-110
고령장애인의 개념 및 연령 기준 = Concept and age criterion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a scoping review : 주제범위 문헌고찰 노승현, 정덕진, 김현숙 p. 111-138
경기도 G시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의 성과와 성공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outcomes and success factors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 city, Gyeonggi Province 정소연, 서홍란, 한정은 p. 139-169
재가장애인의 원가정으로부터 독립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original families 임상욱 p. 171-204
청각장애를 가진 청년의 사회적 거리감 = A study on social distance of emerging adulthood with hearing disability 김선희 p. 205-235
탈시설한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과 거주시설 및 원가정 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 Independent living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deinstitutionalized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returning to the home of origin 신준옥 p. 237-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