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이음교육의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하였거나 참여하고 있는 충청남도 유치원 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총 12회의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은 ‘어쩌다 이음학기’, ‘이음교육 vs 이음행사’, ‘협조 vs 협업’, ‘준비되지 않은 사업 & 해내야 하는 담당자’로 나타났다. 둘째,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지원 요구는 ‘유·초 이음교육을 위한 교사 지원’, ‘이음학기 공모사업 체제 정비’,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유·초등 교사와 관리자, 학부모의 인식 제고’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초 이음학기가 생애교육 차원에서 유기적이고 연속적인 전이를 보장하는 교육적 지원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장 중심의 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and to identify their support needs. To this end, a total of 12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indergarten teachers from Chungcheongnam-do who participated in or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included ‘somehow a transition’, ‘education vs. event’, ‘cooperation vs. collaboration’ and ‘unprepared business & person in charge of completing it’.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requests for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included ‘support for teachers for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establishment of transition system’, and ‘increasing awareness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ransi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an education that connects children's lives, focusing on their successful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guidelines and system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identity negotiation of out-of-field teacher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이정민, 소경희 p. 1-29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Issues and task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upply policy 신은영, 윤혜원, 신현석 p. 31-60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achers’ job stress on burnout in the elementary school :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조순희, 변상해 p. 61-81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rovement of child abuse-related laws : focus on teachers reported for child abuse 고영규, 유은혜, 김민제, 김주연, 김진솔, 성동아, 신성민, 양하영, 최서연 p. 83-110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eaching competencies based on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al profiles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 a focus on expectancy-value theory :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장나영, 박소영, 이유경 p. 111-140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Experiences and demand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이성희, 김성미 p. 141-166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ers’ efforts to develop student agency in their teaching practice 김지수, 서경혜 p. 167-194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utilization types of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and their predictive factors 정혜주, 정설미 p. 195-225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high school principals' and teachers' evaluation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류병곤, 이수정 p. 227-249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early-career teachers' preparedness 이정윤, 홍소정, 송지훈 p. 251-280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An exploration of teachers’ career success orientations 이정민, 김남희 p. 281-309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field-centered operating models for normalizing school work : focusing on operational case analysis :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유림, 강지영, 신현석 p. 311-350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school field practice in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김대영, 고민정 p. 351-376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factors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fairness and teaching dedication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민철 p. 377-401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cooperation patterns and mechanisms of participants in the school practicum semester system 최인영, 주정흔 p. 403-432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for student behavior and classroom management :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 and four OECD countries using PISA 2022 data 최서연, 한인숙 p. 433-461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on teachers' instruc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democracy in policy implementation :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지영, 엄문영 p. 463-488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Exploring curricular conditions for enhancing teachers' agency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focusing on the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features of the IB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박영주, 조현영, 박진희 p. 489-514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The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s for teacher educator to develop field-oriented problem-solving competencies of prospective teachers 조덕주 p. 515-543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principal leadership of small scale middle school in a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이한나, 김병찬 p. 545-574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in basic academic skills 강현숙, 이문수 p. 575-601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 = Exploring the profess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of pre-service teachers with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school practicum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현수, 허은정 p. 603-626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f the leadership experience of newly appointed vice principal of an elementary school 노길명, 이재덕 p. 627-653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ing life of elementary branch school teachers in remote area 김동현 p. 655-682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process of participating teachers during the research year 문현심, 유기웅 p. 683-712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Challenges and demands for support in the teaching process to teaching by special teacher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guid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유장군, 최현석 p. 713-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