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AI와 함께하는 무용 예술작업에서 현장 작업자들이 마주할 수 있는 윤리적 상황에 관한 탐구로, 그중에서도 무용가의 ‘몸 소외’상황에 집중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는 AI와 몸 소외에 관련한 논문과 서적, 기사 등의 문헌연구와 실제 현장에서 관련 작업을 경험한 공학자, 무용수가 각각 참여한 반 구조화된 일대일 전화인터뷰, 안무가가 참여한 구조화된 일대일 서면 인터뷰 각 1회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AI 학습을 위해 도구화된 인간의 몸’과 ‘인간과 AI의 수행 능력 차이로 인한 몸 소외’, ‘자본 및 권력에 의한 몸 소외’의 몸 소외가 나타날 수 있는 상황 및 유형을 발견하였다. 이때 나타날 수 있는 몸 소외는 초상권과 지적 재산권, 저작권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의프라이버시와 노동 소외, 심리적 소외, 생물학적 소외 등이다. 본 연구가 AI를 활용한 무용 예술의 작업현장에서 고려해야 하는 윤리적 요소를 살펴본 기초 연구물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과 함께하는 무용 예술작업에서 현장 작업자들이 마주할 수 있는 윤리적 상황에 관한 탐구 = An exploration of ethical situations that field workers may face in dance art work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dancers' body alienation : 무용가의 몸 소외 현상을 중심으로 박유나 p. 3-26
한성준의 춤과 서울 지역 춤의 전개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n Sung-jun's dance and Seoul region dance : from early 1900s to early 1940s : 1900년대 초부터 1940년대 초까지 김경은 p. 29-65
춤사위 용어를 활용한 한국춤 훈련 메소드 가능성 모색 = Possibility of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using terminology : Bae Junghye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 활용법 김향 p. 67-84
중국 대학교 무용 전공자의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 및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formance engagement in Chinese university dance majors 류빈웨, 손관중 p. 85-106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의 역사를 통한 문화적 가치 고찰 = A study on the cultural value of the Jeonju Daesaseupnori national competition through its history 서정민 p. 107-124
K-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전주대사습놀이의 발전방안 연구 = Development plan study of Jeonju Daesaseupnori as a K-content platform : focusing on Pansori : 판소리를 중심으로 유영수 p. 125-140
해방기 부산지역 현대무용의 형성 = The formulation of modern dance in Bu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장정윤 p. 14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