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기록되면서 '인구 소멸 1호 국가'가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고 지역이 소멸하며 산업 내 고급 인재 부족과 같은 심각한 인구학적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와 각 지자체는 외국인 유학생의 역량을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고자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석‧박사과정 학생으로 수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내 취업 촉진 활동 및 취업 지원체계의 중요성과 실행 정도 차이를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도교수의 추천'과 '산학협력 프로젝트'가 가장 중요한 취업 촉진 활동으로 평가되었으며, 취업 지원체계에서는 연구자를 위한 ‘유연한 비자 제도’와 ‘출입국 절차의 간소화’ 항목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거주 지역 및 출신 국가에 따라 중요도와 실행도 간 인식 차이가 있어, 거주 지역 및 출신 국가에 맞춤화된 고용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U대학원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공계 외국인 유학생들로 한정되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특성화대학 및 거점국립대학의 외국인 유학생까지 포함한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고용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별, 문화적 배경 및 경제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 지원체계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문화적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까지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소벤처기업의 조직 내부역량 및 외부 환경동태성이 해외진출 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influence of internal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international expansion intentions of small venture compan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verseas network orientation : 해외네트워크 지향성 조절효과 중심 정현철, 이소영 p. 1-18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young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level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tart-up consulting : 창업컨설팅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송현채 p. 19-41
중국 4대 직할시 온라인 플랫폼 창업자의 창업동기, 개인역량, 창업환경요인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artup motivation, individual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al factors of online platform entrepreneurs in China's four major municipalities on startup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opportunity capture : 사업기회포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춘화 p. 43-70
대학창업환경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entrepreneurial-environment on entrepreneurship : mediating effects of discovering-entrepreneurial-opportunities : 창업기회발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구웅모, 전병훈 p. 71-89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회적 경제 분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social econom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focus on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를 중심으로 고일권 p. 91-114
대학생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 결과기대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economic hardship,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s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learning experienc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진로결정 학습경험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소연, 서영석 p. 115-138
두뇌 유입(Brain Gain)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고용 활성화를 위한 IPA 분석 = IPA analysis for enhancing the domestic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a brain gain perspective : focused o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정부출연연구기관 이공계 석‧박사과정을 중심으로 한원철, 전혜영, 남정민 p. 139-165
미취업 청년 캥거루족의 부모 경제적 의존 유형화 및 결정요인 = A study on the types and determinants of economic dependency on parents among unemployed kangaroo tribe youth 박보람, 강민지 p. 167-190
은행업 종사자의 직무수행능력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ability of banking workers on job craft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velopment desire : 자기개발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은주, 박남태 p. 191-210
SNS화장품 광고에서 화장품구매행동, 소비성향, 외모관심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cosmetic purchase behavior, consumption tendency, and appearance interes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in SNS cosmetic advertisem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odel attractiveness : 광고모델 매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곽준철, 하규수 p. 211-236
직원경험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employee experience on innovative behavior mediated by psychological empowerment : a study of Chinese employees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왕야징, 설현도 p. 237-259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특성과 팔로워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and followership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세대 간 차이분석 남윤정 p. 261-288
중학생을 위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based on OECD learning compass 2030 for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career development and creativity competencies :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성역량을 중심으로 이지연 p. 289-306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한 스타트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success of start-ups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alysis of research trends 박연순, 남정민 p. 307-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