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사회성 개념의 명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인지하고 있는 사회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대학 교양무용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회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내용체계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Stringer(1999)의 참여적 실행연구로 2022년 2학기와 2023년 1학기에 진행하였고, 1년간 서울 소재 S대학교의 교양강좌 학습자 총 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래 인재가 지니고 있어야 하는 기본 자질로서 사회성 개념은 ‘타인과 원만하게 상호작용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사회성의 구성요소는 ‘사고에서의 사회성,’, ‘사교성에서의 사회성’, ‘사회적 규범에 준거한 사회성’으로 구분하였다. 사회성을 둘러싼 상황적 맥락에 따라 요구되는 사회성의 세부자질은 달라진다. 셋째, 사회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에 내포된 공통적 세부자질은 ‘존중, 소통, 배려, 격려’로 도출되었고, 이 중 핵심 요소는 ‘존중’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성 함양을 위한 기본 자질은 ‘존중’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함양을 위한 교양무용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고, 수업목표, 학습목표, 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평가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기에 현장의 교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청년을 위한 무용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danc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youth and young adults : focusing on the 'Chumchumyeon Mooharny?!' program at Kkumdarak Cultural Arts School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춤추면 무하니?!』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윤혜선, 윤현서, 안정윤 p. 1-17
조현병 환자의 통합예술교육 활동이 속박감과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ense of entrapment, depression, and happines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홍혜전 p. 19-30
발레 전공 대학생의 Battement Tendu 개념, 수행 방법, 자기화에 대한 인식 = Perceptions of ballet major university students on the concept, execution, and embodiment of battement tendu 박재홍, 정수현 p. 31-42
미래 인재를 위한 ‘사회성’ 개념 및 구성요소의 재정립 = Redefin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sociality' for future talents : university literal arts dance classes for fostering sociality : 사회성 함양을 위한 대학 교양무용수업 임수진 p. 43-56
학춤 뛰어날기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 A kinematic analysis of the <jumping and flying> motion in crane dance 이금용 p. 57-69
액티브 시니어의 성공적 노화 지원을 위한 K.W.D 프로그램 사례연구 = The case study on the K.W.D program for supporting successful aging in active seniors 이연정 p. 71-87
전통무용공연의 디지털 서비스의 수용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ceptance factors of digital services in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on perceived value and audience satisfaction 제갈숙영, 조남규 p. 89-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