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타버스 콘텐츠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자유 형식 역할놀이의 분류에 대한 기초연구 = Basic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online freeform role-play for metaverse content design strategy 김진솔, 우탁 p. 2735-2750
인터랙티브 광고 플랫폼을 통한 XR 광고 생태계 제안 = Suggestion for an extended reality advertising ecosystem through interactive advertising platforms 박기령, 김현준, 김건동 p. 2751-2761
국내외 버추얼 휴먼의 시각적 표현 방법에 따른 호감도 연구 = A study on the familiarity of global virtual humans based on their visual style 이수현, 최유미 p. 2763-2771
확장현실 기반 사시 진단 시뮬레이션에서의 수행평가 설계 및 개발 =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xtended reality-based strabismus diagnosis simulation 김다은, 류지헌 p. 2773-2781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학습공간 설계 요소 탐색 = Investigating design principles for creating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he metaverse : focusing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 문제 중심 학습(PBL)을 중심으로 서한나, 도현미, 권혜진 p. 2783-2794
유튜브 드론 영상의 시청 동기가 영상 만족도 및 지속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 for YouTube drone videos on video satisfaction and continued viewing intention 박희영, 유우현 p. 2795-2805
UI 컴포넌트 유형별 마이크로인터랙션의 트리거에 따른 피드백의 표현 분석 = Analysis of feedback representation based on triggers of microinteractions by UI component types 김건동 p. 2807-2818
유튜브 인플루언서와의 동일화 갈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wishful identification with YouTube influencers : focusing on adolescents : 청소년을 중심으로 정가은 p. 2819-2827
농인 중심의 기계번역을 위한 한국수어 스크립트 제작 및 텍스트 데이터 전처리 연구 = Study of the production of Korean sign language scripts and preprocessing of text data for machine translation targeting deaf individuals 주용민, 김소진 p. 2829-2840
연안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해양과학 연구와 산업 요구 분석 = Analysis of marine science research and industry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ast big data platform 한현경, 이철용 p. 2841-2848
6자유도 입체영상 기술 기반 유아 요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school yoga program based on 6-DOF stereoscopic video technology 방미향 p. 2849-2862
SSD 내구성 강화를 위한 Window 기반 오프라인 Hot/Cold 데이터 분류 기법 = Offline data placement using Window-based hot/cold identification to enhance solid-state drive endurance 백승수, 차재혁 p. 2863-2870
MPIIFaceGaze 데이터세트 기반 시선 예측 모델의 효율적인 전처리 기법 및 증강 기법 = Efficient preprocessing and augmentation techniques for gaze prediction models based on the MPIIFaceGaze dataset 김나영, 인다운, 조시은, 박태정 p. 2871-2878
에이다부스트에서 약한 학습기로 사용하는 결정트리 알고리즘들의 비교 = Comparison of decision tree algorithms as weak learners in AdaBoost : CART and LDA : CART, LDA 이종찬 p. 2879-2887
Fast encrypted network traffic detection system based on hidden Markov models = 은닉 마르코프 모델 기반 고속 암호화 네트워크 트래픽 탐지 시스템 Ning Yan, Young-Yeol Choo p. 2889-2899
노인의 보행환경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사례분석 = Case analysis of applications about the walking environment for older adults 최서윤, 장은주, 강소민, 정순둘 p. 2901-2911
메타버스에 대한 목회자와 Z세대 교인의 인식 연구 = Perceptions of the metaverse among pastors and Gen Z Christians : an analytical study 유현배 p. 2913-2923
가상 아이돌 이용자 성향의 동기,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영향 연구 = Virtual idol user propensities : effects o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 a SEM analysis : 구조방정식모델링 최제호, 박선호, 현대원 p. 2925-2938
실크로드 벽화 디지털콘텐츠 변천 연구 분석 및 인공 융합 연구 전망 = Research analysis on the evolution of digital content of Silk Road murals and prospects for artificial convergence studie[s] : focusing on the Afrasiab Palace murals in Samarkand :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를 중심으로 박상규, 김기홍, 박진호 p. 2939-2949
AWS 클라우드 기반 신뢰성 있는 화재 감지 서비스 플랫폼 개발 = Developing a trusted fire detection service platform based on the AWS cloud 최환석, 이건희, 조한성, 최민석, 이우섭 p. 2951-2960
메시지 패싱 그래프 기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화합물의 심장독성 예측 = Prediction of cardiotoxicity of compounds using message passing graph-based deep learning models 이도현, 유선용 p. 2961-2968
기능성 게임을 활용한 코딩교육 프로그램 제안 = Proposal of a coding education program using functional games with focus on 'surviving as a developer in a nuclear war' : ‘핵전쟁에서 개발자로 살아남기’를 중심으로 서민주, 심현지, 이승우, 홍진호, 정지윤 p. 2969-2977
UAV 드론의 정밀 착륙 성능 향상을 위한 강화학습 기반 PID 제어기 연구 = Study of a reinforcement learning-based PID controller for improving UAV precision landing performance 정희철, 김현석 p. 2979-2986
저편향·고분산된 보편적 데이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오프라인 강화학습 방법 = Effective offline reinforcement learning with low-bias, high-variance practical data 권은주, 김현석 p. 2987-2994
기관 정보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지식모델 설계와 지식그래프 구축 = Framework for knowledge model design and knowledge graph construction for semantic linking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송채은, 김학래 p. 2995-3004
딥러닝 기반 시·촉각 혼합 현실 정합 방법에 관한 연구 = Deep learning-based alignment method for visuo-haptic mixed reality 김현수, 용한빛, 김명진 p. 3005-3011
지게차 형태 자동 운반 로봇과 YOLOv8 객체 탐지 기술을 활용한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 =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forklift-type autonomous transport robots and YOLOv8 object detection technology 유광민, 김남호, 최광미 p. 3013-3019
10.29 참사 이후 압사사고에 대한 사회적 이슈 분석 = Societal percep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10.29 crowd crush : a text mining analysis of online media reports : 온라인 기사 토픽 모델링 중심 구창민, 강희조 p. 3021-3029
Real-3DGS = Real-3DGS : sensor fusion-based realistic scale environmental modeling for simulation of autonomous driving :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을 위한 센서 퓨전 기반 현실 규모의 환경 모델링 서유리, 허채연, 김찬수 p. 3031-3040
영화 제작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주체적 역할 연구 = Generative AI in film production : analyzing the active role of AI in creative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강지영 p. 3041-3052
비트맵 데이터 학습을 통한 딥러닝 기반의 메모리 수리 예측 기술 연구 = Study of a deep learning-based early termination detection scheme using bitmap data learning 강유진, 오준석, 서은솔, 박석민, 이영우 p. 3053-3059
포트홀 탐지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 데이터셋 구축과 CNN 모델 성능 평가 = Dataset construction using generative AI for pothole dete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NN models 조민지, 조혜준, 최재명, 강희조 p. 3061-3069
인공지능 인문데이터의 해석 = Humanistic interpretation and AI humanities data : focus on Korean emotional data : 한국어 감정데이터를 중심으로 정유남, 남영자 p. 3071-3078
버추얼 인플루언서 특성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virtual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consumer behavior : 제품 적합성과 제품 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성식, 황서이 p. 3079-3089
생성형 AI 활용 시나리오 기반 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교육 e-러닝 콘텐츠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e-learning contents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scenario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구본진 p. 3091-3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