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요양보호사는 신체활동 및 가사지원 직접 서비스 인력으로 이들의 역량과 근로 환경은 장기요양 서비스 질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빠른 고령화로 요양보호사 인력의 심각한 부족이 예상되는 한편, 취약한 근로조건 등으로 해당 직군의 높은 이직과 짧은 근속기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와 정책 수립을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한다. 국내외 5개의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2018년 이후 발표된 논문들을 검색하고, 기준에 부합한 33편의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들은 Takase(2010)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조직, 직무, 개인, 외부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이직의도의 관련 요인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로 직무만족과 역할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일관된 상관관계가 있었다. 폭력경험과 근무기간은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고한 연구도 있으나 연구 간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다수의 연구가 개인 요인 중 요양보호사의 직무 관련 행동과 태도 변수들에 초점을 두었고, 외부 환경요인들을 함께 다룬 문헌은 제한적이었다. 연구 간 이직 의도 관련 변수의 정의 및 측정 도구는 매우 다양했다. 나아가 시설과 재가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들은 차이가 있었다. 향후 요양보호사 이직 의도 및 이직 연구에서는 이론적 틀에 기반한 보다 엄밀한 연구 설계가 요구되며, 노동 시장 수요, 정책 변화 등의 외부 요인들을 함께 고려한 다층적, 종단적 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by systematically reviewing studies on factors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s of care workers in South Korea. The study followed the PRISMA systematic review guidelines. Five major academ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since 2018, and a total of 33 articles were selected.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job, employee, and external factors based on Takase's (2010)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also check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by type of workplac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and role stress were found to be consistently significant with turnover intentions, while violence experience and tenure reported conflicting results across studies.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individual level and the literature on external factors was limited. None of the reviewed studies clearly presented a theoretical model, and the literature varied widely in the definition of turnover intention related variables and the selection of measurement tool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key turnover intention factors of home and facility care workers. For future research on c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s and actual turnover, we suggest a more rigorous research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 multi-layered, longitudinal study that considers external factor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