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계번역에서의 진술부사 처리 양상을 한국어 대응 양상과 번역 처리 양상으로 나누어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대응 양상에서 「もちろん/やはり/なぜ/まったく/まるで」(구글과 파파고) 와 「きっと/おそらく/たぶん」(파파고)은 90% 이상의 비율로 일대일 한국어 대응을 보인다. 특히「もちろん/まるで/まったく/やはり」(구글),「なぜ/おそらく/たぶん/やはり」(파파고)는 [물론/마치/전혀/역시], [왜/아마(도)/아마(도)/역시]로만 번역되어 전체적으로 의미기능이 세분화되지 못하여 표현의 다양성이 미흡하였다.
둘째, 번역 처리 양상에서 어순 변화가 가장 적게, 생략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고정적 부사 위치는 부사의 부동적 특성의 약화를, 다수의 생략은 부차적 성분으로서의 부사특징을 나타낸다.
이어 「まるで」의 긍・부정 용법 혼동으로 인한 오용과 「なぜ」(구글)와 「もちろん」(파파고)의 품사전성 및 「きっと」(파파고)의 의미 전성으로 인한 변용이 보인다. 구체적으로 오용은 구글 36개(1.86%)/파파고 4개(0.20%), 변용은 구글 1개(0.05%)/파파고 8개(0.41%) 로 기계번역의 정확성과 함께 일부 유연성을 파악할 수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