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기계번역에서의 진술부사 처리 양상을 한국어 대응 양상과 번역 처리 양상으로 나누어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대응 양상에서 「もちろん/やはり/なぜ/まったく/まるで」(구글과 파파고) 와 「きっと/おそらく/たぶん」(파파고)은 90% 이상의 비율로 일대일 한국어 대응을 보인다. 특히「もちろん/まるで/まったく/やはり」(구글),「なぜ/おそらく/たぶん/やはり」(파파고)는 [물론/마치/전혀/역시], [왜/아마(도)/아마(도)/역시]로만 번역되어 전체적으로 의미기능이 세분화되지 못하여 표현의 다양성이 미흡하였다.

둘째, 번역 처리 양상에서 어순 변화가 가장 적게, 생략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고정적 부사 위치는 부사의 부동적 특성의 약화를, 다수의 생략은 부차적 성분으로서의 부사특징을 나타낸다.

이어 「まるで」의 긍・부정 용법 혼동으로 인한 오용과 「なぜ」(구글)와 「もちろん」(파파고)의 품사전성 및 「きっと」(파파고)의 의미 전성으로 인한 변용이 보인다. 구체적으로 오용은 구글 36개(1.86%)/파파고 4개(0.20%), 변용은 구글 1개(0.05%)/파파고 8개(0.41%) 로 기계번역의 정확성과 함께 일부 유연성을 파악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에서 비인간론의 연구 동향 = Trends in the study of nonhumanism in Korea 이재준 p. 1-31
개, 우리의 친구인가 아닌가? 그들의 고기는? = Are dogs our friends? If so, what about their meat? 김성한 p. 33-60
트랜스휴먼주의와 미국의 정치 신화 = Transhumanism and the American political myths 최석현 p. 61-91
코로나19 유행 시기 요양시설 코호트 격리 되짚어보기 = Reassessing cohort isolation measur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 case study analysis of the challenges in Korea's cohort isolation measures :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한국 코호트 격리의 문제점 신유나, 하세가와 사오리, 최규진 p. 93-131
기계번역에서의 진술부사 처리 양상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n process method of modal adverbs in AI translation : focusing on Japanese-Korean translation of novels : 소설의 일한 번역을 중심으로 박미숙 p. 133-156
창작, 모방, 그리고 시네마에 관한 독백 = Monologue about creation, imitation, and cinema : Park Chan-wook's gaze revealed in Decision to Leave : 영화 <헤어질 결심>에 드러난 박찬욱의 시선 박수미 p. 157-186
현대소설의 일본어계 어휘 사용 양상에 관한 일고찰 = A lexical approach of Japanese originated vocabulary in Park, Kyung-ri's Toji and Choi, Myeong-hee's Honbul : 박경리 『토지』와 최명희 『혼불』의 계량적 비교 분석 복보경 p. 187-214
성스러운 가치에 대한 헌신으로서 병역 거부 운동 =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s a commitment to sacred values stories retold in light of the devoted actor model : ‘헌신된 행위자’ 모델에 비추어 다시하는 이야기 하홍규 p. 215-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