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가 지체장애 학생 교육을 위해 얼마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115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실태, 스마트기기의 활용 정도,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학생특성 및 활용실태의 빈도분석과 교사 변인과 스마트기기 활용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상당 수가 동기유발을 목적으로 주 3회 이상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하고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를 주로 활용하였다. 스마트기기가 지체장애학생 교육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소통과 여가활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스마트기기에 대한 접근성 개선을 꼽았다. 결론: 지체장애 학생들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을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스마트기기에 대한 지체장애 학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지체장애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스마트기기 활용 연수가 필요하고, 스마트기기를 AAC 기기로 적극 이용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Purpose: We want to understand the level of sensory movement and AAC use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how much special teachers use smart device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Method: For 115 special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tudents' sensory performa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kills, smart device usage, and perception of smart device usage were investigated. For frequency analysis of student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status, and cross-analysis of teacher variables and smart device use, Excel 2021 and SPSS 27.0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Results: The degree of moderate disability was confirmed in physical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e smart devices in class at least once a week, often for motivation purposes, and mainly use video content. Smart devices are recognized as helpful and the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communication and leisure use. They asked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and improvement of access to smart devic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at the national level to use smart devic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ever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smart devices. Customized teacher training for guidance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active use of smart devices as AAC are need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어능력 평가제도의 등급 체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ating system of sign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남기현 p. 1-22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요소 탐색 = Exploring element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송다인, 장효미, 서효정 p. 23-53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및 교사 인식 현황 = Current status of smart device utilization and teacher recognition in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김창호, 박재국 p. 55-76

성인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 A needs analysis study on continuing education for adult blind and deaf adults needs analysis study : focusing on G metropolitan city : G 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재호, 이우진 p. 77-100
지방 중·소도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어휘 및 읽기 발달 현황 = Vocabulary and reading development status of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y 고선희 p. 101-121
장애·위험군학생의 5-생애핵심역량 기반 생활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 program model to strengthen life management capabilities based on 5-life key competenc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t-risk groups 이경혜 p. 123-141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진로교육을 가르치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n the formation of practical knowledge of a low-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 teaching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es 김현진, 홍재영 p. 143-166
도서 벽지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실행 경험과 요구 = Experiences and needs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island and remote rural areas : a focus on Jeollanam-do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임하람, 최상배 p. 167-193
발달장애인의 자립 의사 정도와 자립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intention to be independent 박단아, 최진혁, 이상아, 정정임 p. 195-212
장애학생 보호자 지원 전달 체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pport delivery system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이미숙 p. 213-236
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IEP) 참여 중재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고찰 =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interventions for participation i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김은윤, 김혜선, 박민정, 정현진, 이숙향 p. 237-269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 분석 = Analysis of th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cluded in the 2022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이예다나, 고혜정 p. 27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