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목적: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가 지체장애 학생 교육을 위해 얼마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115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실태, 스마트기기의 활용 정도,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학생특성 및 활용실태의 빈도분석과 교사 변인과 스마트기기 활용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상당 수가 동기유발을 목적으로 주 3회 이상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하고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를 주로 활용하였다. 스마트기기가 지체장애학생 교육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소통과 여가활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스마트기기에 대한 접근성 개선을 꼽았다. 결론: 지체장애 학생들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을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스마트기기에 대한 지체장애 학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지체장애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스마트기기 활용 연수가 필요하고, 스마트기기를 AAC 기기로 적극 이용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Purpose: We want to understand the level of sensory movement and AAC use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how much special teachers use smart device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Method: For 115 special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tudents' sensory performa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kills, smart device usage, and perception of smart device usage were investigated. For frequency analysis of student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status, and cross-analysis of teacher variables and smart device use, Excel 2021 and SPSS 27.0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Results: The degree of moderate disability was confirmed in physical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e smart devices in class at least once a week, often for motivation purposes, and mainly use video content. Smart devices are recognized as helpful and the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communication and leisure use. They asked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and improvement of access to smart devic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at the national level to use smart devic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ever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smart devices. Customized teacher training for guidance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active use of smart devices as AAC are needed.*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