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서 학년(군)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사고도구어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수집한 총 375권의 교과서 텍스트 말뭉치이다. 원인 변수인 사고도구어가 결과 변수인 교과서 학년(군)과 인과적인 영향 관계를 맺고 있다는 가정하에, ‘교과목’과 같은 통제 변수를 추가하여 다중 회귀 분석 및 민감도 분석, 그리고 스테레오타입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같은 통계적 분석 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고도구어 관련 변수 중 특히 사고도구어의 ‘다양도(CTTR)’가 교과서의 ‘학년’ 및 ‘학년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특히 사고도구어의 ‘다양도(CTTR)’ 값이 높을수록 더 높은 학년(군)의 텍스트로 예측될 확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고도구어와 관련된 변수가 교과서 텍스트의 학년(군)별 차이를 현상적으로 드러내 주는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양적으로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학’과 ‘디지털 음악 매체’의 융합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for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digital music media' : centered arou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Literature and Media'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 2022개정 교육과정 <문학과 매체>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이빛나 p. 43-80

중학생의 미디어 문화에 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media culture : focusing on media consumption and expression as a 'geek' : ‘덕후’로서의 미디어 향유와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장은주 p. 193-218

학습자 주도성 중심의 국어 교육을 위한 시론 = A preliminary study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 agency : transition from social constructionism to dialogism : 사회구성주의 담론에서 대화주의 담론으로의 전환 전현주 p. 81-116

구술성(orality)을 반영한 초등학교 쓰기 학습 활동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writing learning activities in primary school that reflect orality : focusing on 1st and 2n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송용창 p. 7-42

교과서 학년(군) 예측 지표로서의 사고도구어 활용 가능성 탐색 = A study of academic vocabulary as a predictor of textbook grade level 이상재, 이진현, 길호현, 김철희, 신명선 p. 117-158

중학생 독자의 읽기 실태와 읽기 행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ading status and read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readers : focusing on reading frequency, amount, and duration : 읽기 빈도, 양, 시간을 중심으로 정지은 p. 159-192

‘한글 놀이마당’에 관한 현장적합성 검토 의견과 반영 양상 = Opinions on the on-site suitability review of the 'Hangeul Playground' and aspects of reflection 손균욱 p. 349-383

자기성찰을 통한 교사 말투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teacher speech style through self-reflection 김윤정, 박재현 p. 219-247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문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A study on content analysis of literary curriculum related to 'author's intention' 나현수, 이향근 p. 385-419

어휘 능력 진단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vocabulary ability test tool 최규홍, 이수진, 이창근, 이경남, 임의진, 이경화 p. 249-272

불온한 공동체와 분열되는 공동체 = A bad gemeinschaft and a divided community : a study of Lee, Ho-cheol's early novels : 이호철 초기 소설 연구 이지훈 p. 421-445

국어과 서·논술형 평가의 도입 현황 및 실행 상의 쟁점 탐색 연구 = Exploration of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of descriptive and essay-type assessm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박종임 p. 273-307

비동시적 온라인 독서 토론(AORD) 교수 모형에 기반한 예비 교사를 위한 양성평등 교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synchronous online reading discussion(AORD) model 최숙기 p. 309-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