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T 협동학습을 적용한 공유 피아노 합주 수업 구조화 및 설계 = Structuralization and design of instrumental ensemble classes using shared piano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문현경 p. 275-294
구글 크롬 뮤직랩을 활용한 초등학교 예비 교원의 AI·디지털 매체 역량 강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enhancing the AI·digital media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Google Chrome Music Lab 이상준 p. 149-177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 통합교과서의 생태음악교육 내용 분석 = Analysis of the ecological music education content in the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textbook 'pleasure life' 곽현규, 이현지 p. 47-64
초등학생의 창작활동을 위한 단소 수업전략 = Danso teaching strategy for creativ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오지연 p. 87-105
초등 예비교사의 조성감과 박자감에 대한 자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 =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to improve the sense of tonality and rhythm for elementary preparatory teachers 홍승연 p. 129-148
국악 교육에서의 PBL 모형을 적용한 메타버스 국악공연 제작연구 =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metavers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pplying the PBL model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권혜진 p. 179-199
음악과 개념기반 탐구학습 수업모형 개발 및 수업설계 방안 탐색 =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design of a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model for music education 임새롬, 이세희 p. 349-374
중등음악교사의 국악 수업 경험 =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Korean music : practices of music teachers who majored in Western music : 서양음악을 전공한 음악교사들의 국악 수업 실천 심수연, 이수진 p. 315-347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을 반영한 최신 음악교육매체 기반 예비교사 교육과정 적용 및 경험 탐색 = Applica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 curriculum based on latest music education media reflecting metavers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박현진, 남상봉 p. 375-404
피아노 교육에서의 인지적 부하 관리 전략 = Cognitive load management strategies in piano education 배수영 p. 405-430
음악교과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 사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use of plastic instruments in music classes 윤관기 p. 295-313
에듀테크를 활용한 자기주도적 음악 창작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self-directed music creation using edtech :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은승 p. 247-273
디지털 매체 및 인공지능 기반의 과정 중심 음악창작 수업 모형 제안 = A proposal for the instructional model of process-centered music creation using digital 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김경화 p. 225-246
사운드 스케이프에서 사운드 디자인으로 = From soundscape to sound design : effects of a sound creation activity program utilizing sampling pads : 샘플링 패드를 활용한 소리 창작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이현수 p. 201-223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피리 내용 분석 = Analysis on Piri content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임규수 p. 65-85
중등학교 기악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에 관한 실태 분석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content, methods, and assessment in instrument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조성기, 함인아 p. 107-127
2015 개정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음악 학습 내용 비교 = Comparison of music learning content 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and textbooks under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김은주 p. 1-25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한배 관련 국악 요소 학습 방안 =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how to learn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to Hanbae 박지영 p. 2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