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율곡의 위학론(爲學論)이 ‘선(善)의 실천’을 목적으로 삼고 구축된 체계적인 입론이라는 관점에서 그 위학론을 탐구하였다. 즉 위학론의 목적, 선의 실천을 위한 실천지(實踐知)의 탐구, 선의 실천을 위한 역행(力行) 공부, 선에 대한 앎을 행으로 이끌 수 있는 실체적 마음의 함양이라는 초점을 중심으로 율곡의 위학론 체계를 해명하고 그 특성을 논하였다.
율곡은 궁리 공부를 하여 선의 실천에 온전히 부합하는 진득(眞得)과 진지(眞知)라는 실천지(實踐知)를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선의 실천을 위한 역행(力行) 공부의 핵심 체계로는 입지(立志), 기질변화(氣質變化), 성의(誠意), 행인(行仁)을 제시한다. 특히 율곡은 도덕적 지(知)와 행(行)에 대해 공부하더라도 선 실천에 있어서 미진한 문제가 있다고 직시하면서, 선 실천을 추동(推動)하는 참된 마음인 실심(實心)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실심이 없다면 도덕적 앎을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선을 온전히 실천하기 어렵다는 입장에 근거하여 구축된 실심의 윤리관은 율곡 위학론의 중요한 특성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