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문화적 상징은 영원한 사실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다. 본 연구는 종교적 의미로서 ‘경계(境界)’를 무궁화 차의 상징적 의미에서 살펴본 것이다. 무궁화는 꽃, 줄기, 뿌리 모두 차로 음용할 수 있어서 일반 꽃차보다 사용범위가 넓다. 그러나 무궁화의 뛰어난 효능이 밝혀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궁화차는 아직 대중화 되지 못했다. 반면 무궁화는 나라꽃으로서의 상징성과 더불어 우리 민족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무궁화를 차로 음용하는 것은 대중화되기 충분한 요건이다. 여기서는 무궁화 울타리에 종교적 의미로서 ‘경계’의 상징성을 제기하고, 차의 상징과 더불어 무궁화차의 상징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종교적 경계의 의미는 외재적 대상의 인식을 말하는 것으로, 경계를 인식한다는 것은 곧 대상을 인식하는 것과 같다. 즉 ‘있는 그대로의 대상’을 올바로 인식해야 한다. 또한 무궁화 울타리가 갖는 경계의 상징적 의미는 울타리를 통해 성속(聖俗)의 구분을 엄격히 해야 한다는 점에 있다.

Cultural symbols are used to express eternal fac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oundary" in religious sense with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Mugunghwa tea. Mugunghwa's flowers, stems, and roots can be consumed as tea, so it is used more widely than ordinary flower tea. However, Mugunghwa tea has not yet become popular despite its excellent efficacy. Mugunghwa symbolizes the national flower and the national character of Korea, so drinking Mugunghwa as tea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full popularization. Here, the symbolism of "boundary" is presented as a religious significance on the Mugunghwa fence, and the symbolism of tea and Mugunghwa tea are explored. In particular,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 boundaries lies in the understanding of external objects, and the understanding of boundaries is equivalent to knowing objects. That is to say, to know the "true object" correctly. In additi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Mugunghwa fence is to strictly distinguish sacred customs through the fe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원불교의 교리적 접근 = The philosophical approach of Won-Buddhism to prevent violence 조상중 p. 41-78

동아시아 삼국의 『血盆經』 신앙 수용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the three kingdoms of East Asia's Hyulbun-gyeong faith 김성순 p. 79-110

신사리 용어 명칭에 따른 분류와 용례 검토 = A study on the terms of the Sarira that appeared in the sutra translated into Chinese : focusing on the terms of Sariradhātu : 한역경전을 중심으로 김영은 p. 111-147

‘太極’의 위상과 ‘人極’ = The status of 'Taiji' and 'human pole' as an embodiment of anthropocentric thinking : 인간 존엄성의 형상화 이천수 p. 149-180

장자의 자연과 마음 = Zhuangzi's nature and human mind : modern significance of Zhuangzi's idea of ecological equality : 장자 생태 평등사상의 현대적 의의 김인화 p. 181-213

무궁화 차의 상징적 의미 = A symbolic significance of Mugunghwa tea : focusing on 'boundary' as a religious significance : 종교적 의미로서 ‘경계’를 중심으로 문성순 p. 215-243

소태산 박중빈의 정신개벽 사상과 변혁적 중도주의 = Sotaesan Park Jung-bin's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and the ideas of transformative middle way 허석 p. 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