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고려-조선시대의 소악부 작품 및 관련 텍스트를 교육 자료로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문학사 교육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소악부 교육 자료는 3가지로 선정하였다. 첫째, 소악부와 대응되는 우리말 노래를 함께 제시한 것, 둘째, 소악부 작품을 맥락 안에서 함께 교육할 수 있도록 여러 산문 자료를 함께 제시한 것, 셋째, 문학사 안에서 소악부를 통시적·공시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시대별·작자별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이에 대응되는 소악부 활용 교육도 3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우리말 노래와 소악부의 의미를 탐구하여 문학사 안에서의 위치와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둘째, 소악부 관련 산문 기록들을 능동적으로 찾아, 작품 해설 및 창작 맥락 등을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셋째,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소악부 비교를 통해 ‘소악부’라는 갈래를 통시적·공시적으로 탐구해 보면서, 우리의 문학 작품을 주체적으로 재구성(창작)하며 문학사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궁극적으로는 문학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김동리의 「산화」, 「바위」 속 방언 = Dialect in Kim Dong-li's 「Sanhwa」, 「Bawi」 박주성 p. 1-35

외솔 최현배의 우리말 연구와 전집의 외솔학적 의미 = Oesol Choi Hyeon-bae(외솔 최현배)'s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Oisol's complete works 허재영 p. 37-67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아동문학 장르 인식 고찰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children's literature genr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김미혜 p. 69-99

유도 모방 과제(EIT)의 문항 난도 예측 변인 탐색 연구 = Exploring the predictive variables related to item difficulty of elicited imitation test(EIT) 김지영, 김호정 p. 101-132

성인 문식성 준거 평가로서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시험의 어휘 문항에 대한 비판적 분석 = Critical analysis of vocabulary items in the grade 9 national civil servant Korean language test as a standard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이경숙 p. 133-164

국어사교육의 개선과 확장 = The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history 이성우 p. 165-189

소악부(小樂府)를 활용한 문학사 교육 제안 = A study on educational proposals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using So-akbu(小樂府) 조성윤 p. 191-221

다문화 학생을 위한 상호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intercultural education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 focusing o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ducation in the secondary curriculum : 중등 과정 한국어(KSL) 교육을 중심으로 고희성 p. 223-249

외국인 학생의 한국어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 focused on the students from Vietnam and Uzbekistan :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 학생을 중심으로 권보영 p. 251-274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 대화 연습 모형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conversation practice model using conversational AI(ChatGPT) : focusing on metacognitive reflective experience : 메타인지적 반성적 경험을 중심으로 박소연 p. 275-308

<삼선기>에 나타난 서사관행의 변주와 문학사적 의의 = A study on variation of narrative customs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n Samsungee 김진영 p. 309-338

1930년대 현대시에 나타난 폐결핵 은유의 수사학 = The rhetoric of tuberculosis metaphors in modern poetry of the 1930s 이미옥 p. 339-368

아동청소년문학의 인권감수성 연구 = A study on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since the 2000s : 2000년대 이후 아동청소년문학을 중심으로 김경민 p. 369-404

강신재 소설의 지역성과 젠더 인식 = A study on the locality and gender perception of Kang Shin-jae's novels : focusing on 『Waves』 : 『파도』를 중심으로 백지연 p. 40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