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resilience in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 based on the process of frustration and overcoming :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홍인표 p. 1-32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International children’s book awards and cultural Marxism 이수형, 현은자 p. 33-62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 Analysis of children’s play in picture books 차현주, 김민진 p. 63-89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The symbolism of apples as a boundary between opposites in picture books 손금옥 p. 91-119
백희나의 『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Children’s becoming a subject in Baek Hee-na’s 『Jangsutang Fairy』 and 『Strange Mother』 구수연 p. 121-145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in happiness, job stress, and play support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이정미, 이지영 p. 147-174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구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y sequentially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on 황윤세 p. 175-186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childcare teachers’ rights and protection of their rights 이선미, 이대균 p. 187-218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riendship promotion activity using script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이선영 p. 219-239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picture books for infants 신진영, 오수현, 이희진, 장찬주, 박희숙 p. 241-265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Study of directions and experiences on teachers’ taking pictures for mobile notice board during the play of young children 강현경 p. 267-288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on their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 the mediating role of personality and professional ethics :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김희영, 김태영 p. 289-307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oblem behavior on self-efficacy of young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flow :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숙, 류미지 p. 333-350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A qualitative study on play interaction experiences of employed mothers with multiple children including an infant, tackling South Korea’s low birthrate 이창기, 오희은 p. 351-376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early childhood society of early childhood debate program on perspective taking 김선미 p. 377-401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Analysis of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탕징원, 배율미 p. 403-42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김윤정, 배율미 p. 425-446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A study on day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nature-friendly education in a pandemic situation 박경희 p. 447-472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Issues and tasks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이수원 p. 473-487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re competency tes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박지영 p. 309-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