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유아가 생애 처음 접하는 책이자 유아교사가 수업자료로 많이 활용하게 되는 그림책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23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그림책에 대한 은유 표현을 수집하였고, 은유분석 절차에 따라 범주화 및 수치화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은 그림책의 도구적 수단, 그림책의 고유한 가치, 그림책의 교육적 효과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범주는 총 12개로 주의집중 매체, 놀이 및 활동자료, 소통 도구, 생활지도, 상상의 영역, 재미와 감동, 예술적 아름다움, 다양한 작품세계 표현, 상상력 증진, 언어 능력 증진, 삶의 교훈 제공, 간접 경험 제공으로 도출되었다. 본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은 그림책을 ‘놀이 및 활동자료’로 많이 활용하며 그림책을 수업 매체로 많이 사용하여 도구적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교사가 그림책을 수업 매체로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그림책이 활동자료로 활용하기 쉽고, 유아들이 주의집중 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림책이 수업으로서의 도구적 수단뿐만 아니라 그림책의 내용과 본질적인 가치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예술적 문학작품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지원과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보통합 기관의 원장 자격연수에 대한 현직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요구 분석 = Analysis of the demands of incumbent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directors for the director qualification program of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 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s (FGI) :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오채선, 이순배, 한영미, 최이수 p. 1-30
말하는 몸 = Speaking body : exploring Haechan's experience with selective mutism in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 세상과 소통하는 선택적 함구증 해찬이의 경험 탐색 하지수, 오채선 p. 31-55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평가 실행 지원방안 탐색 = Exploring support strategies for curriculum assessment implement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responding and moving beyond together : 함께 응답하며 나아가기 정혜영, 서보순, 김미진 p. 56-85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해설서 내용체계 탐구 = Analysis of content-structure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guidebook : reading of children’s learning based on five domains : 5개 영역의 배움이해를 중심으로 임부연 p. 86-110
새롭게 바라보는 2세 영아의 디지털 카메라 놀이 = A new look at the digital camera of a 2-year-old infant : through the perspective of expressive listening : 발현적 경청의 관점을 통해 이은화, 정가윤 p. 111-131
유아교육기관 전이 시간에 마주친 어린이의 삶 = The lives of children encountered in the transition tim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박수연, 양혜련 p. 132-156
유아 스마트 학습 광고 비판적 담론 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mart learning advertisements targeted at young children : advertising as a platform for the reproduction of pre-curriculum learning : 선행학습 재현의 장 서현선, 김지영 p. 157-178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icture books using metaphor analysis 우민정 p. 179-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