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무형유산의 보존을 위해 전수교육에서의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보유자의 고령화로 인한 전승 단절 위기 속, 특히 전통기술 종목의 전수 교육은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한 방안으로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을 제안한 다. 이를 위해 시민들의 무형유산에 대한 가상현실 기술 활용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전수 교육현장에 있는 보유자 및 이수자(전수교육생)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가상현실 기술은 무형유산 전수교육에서 체계적 학습의 정립 그리고 전수교육 과정 및 작품 아카이빙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역사적 의미, 가치전달, 반복학습과 위험 요소 감 소, 창의적 재해석 등에 활용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무형유산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교육, 학문, 산업적 논의에 기초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미지 초해상도 향상을 위한 피드백 네트워크 연구 = Study on feedback networks for enhanced image super-resolution 정헌석, 허재혁, 양수미, 곽성범 p. 611-618
독일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분석 = Analysis of the design model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German universities : focusing on TU Darmstadt in Germany : 독일 TU Darmstadt를 중심으로 김대영, 이재숙 p. 619-633
OECD 국가의 코로나19 의료비 지출 현황과 남겨진 과제 = COVID-19 healthcare spending and challenges in OECD countries 신정우 p. 635-641
LLM 기반 ChatGPT를 활용한 컴퓨터 분야 면접 준비용 AI 모의 면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I mock interview system for computer science interview preparation using LLM-based ChatGPT 천재성, 장희권, 김지혜, 배창민, 이동규, 문일영 p. 643-651
시각장애학생의 디지털 촉각그래픽 제작을 위한 디지털 대체학습자료의 국내 연구동향 및 도구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tools of digital alternative learning materials for digital tactile graphic production of blind students 이태은, 이희주 p. 653-661
대학 글쓰기 평가에서 인공지능 도구의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tential of AI tools in university writing assessment : comparing evaluation criteria between humans and generative AI : 인간과 생성형 AI 간 평가 기준 비교 박소영, 이병윤 p. 663-676
대학 교수자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차이 = Digital literacy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김혜진, 김옥분 p. 677-688
무형유산의 전수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successor training of intangible heritage 진화수, 송은지 p. 689-700
Matterport와 Unity 3D를 사용한 가상투어 제작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oposing a virtual tour production framework using Matterport and Unity 3D 강민식 p. 701-708
직업 훈련에서 에듀텍 기반 디지털 트윈 훈련장비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twin training equipment based on edutech for vocational training 이상봉, 정영균, 유재민, 장병일, 정윤석, 민준기 p. 709-724
(A) study on measuring AI literacy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So Hee Yoon, Bong Seok Jang p. 725-731
디지털화에 따른 미국의 직업훈련제도와 실태분석 = Analysis of vocational training system and policies of the U.S.A. (according to digitalization) : focusing on WIOA : WIOA를 중심으로 문한나, 서요한 p. 733-746
조직구성원의 ESG 태도와 성과 장애요인 인식에 관한 탐색 = Explor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ESG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performance obstacles : focusing on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 공공기관(직업능력개발조직) 구성원을 중심으로 김동태, 이은영, 명재규 p. 747-756
조직구성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직원몰입,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der-member exchange (LMX), employee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건부 간접효과 이수진, 김미화 p. 757-772
정부 훈련비 지원 수준이 직업능력개발훈련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government subsidy level on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최영섭 p. 773-782
마음빼기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 true self meditation program on self-esteem and atten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유양경, 이인수, 김혜영 p. 783-791
COVID-19 이후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post-COVID-19 era 정진희, 박미현 p. 793-802
연구 재현성 확보를 위한 대안적 접근 = An alternative approach to securing research reproducibility : researcher experience and utilization of statistical software : 연구자 경험과 통계 소프트웨어 활용 안수현, 이상준 p. 803-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