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1학년 시기까지의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 장·단기적 상호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 중 초등학교 5학년(2차년도), 6학년(3차년도), 중학교 1학년(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기준 총 2,437명(남아 1,221명, 여아 1,21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최종모형의 적합도지수는 CFI=.919, TLI=.900, RMSEA=.065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회귀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6학년의 학업열의에, 6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중학교 1학년의 학업열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6학년의 의존도에, 6학년 시기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중학교 1학년의 의존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셋째, 교차지연효과를 살펴보았을 때는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6학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6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중학교 1학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6학년의 학업열의에, 6학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중학교 1학년의 학업열의에 각각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학업열의 저하와 스마트폰 의존 문제에 있어서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초기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가 교차지연효과를 가진다는 점은 아동 및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높이고 스마트폰 의존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양방향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아기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종단적 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조절과 또래애착의 순차적 매개효과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and peer attachment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teractions and children's ego resilience 하지영 p. 1-21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청소년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effect of parents' smartphone dependence on adolescents' grit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e and attention during middle childhood :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성과 주의집중의 순차적 매개효과 민선오, 강민주 p. 23-40
부모의 동기강화양육과 동기저해양육이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종단적 경로 = Longitudinal pathways from parental motivational practices to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 the mediating role of grit : 그릿의 매개 역할 정영선 p. 41-56
아동기에서 초기 청소년기로의 전환기 동안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Academic enthusiasm and smartphone dependency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송수원, 박재은, 전세연, 강민주, 조혜린, 박주희 p. 57-74
어머니의 어릴 적 놀이경험과 여가만족이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play exper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on mother-child interaction 장연희, 조안나 p. 75-96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 및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궤적 = Characteristics of family relationships and trajectories of family-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baby boom and echo generations 조규영, 최봄이, 박하영 p. 97-118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역량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and children's playfulness 김남희, 송주연 p. 119-137
영유아교사의 신체 건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hysical health : focusing on Korean peer-reviewed journals : 국내 학회지를 중심으로 이유승, 오수정, 고윤지, 변수연 p. 139-160
초단시간 방문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short-hour visiting home care workers 황수연, 황세인 p. 161-183
노인 상담 자원봉사자의 노인상담 경험에 대한 맥락적 이해 = Contextual understanding of geriatric counseling experiences among senior counseling volunteer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 근거이론적 접근 최은실, 전상민 p. 185-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