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대 예술사진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던 패러디의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postmodern parody in contemporary art photography
|
공일범, 황명, 임안나
|
p. 1-19
|
|
|
|
게임이론과 복합 가중치 부여 방식에 기반한 스마트폰 고령자 모드 인터페이스 디자인 평가 =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of interface design of digital products for the elderly based on combination weights of game theory
|
곽건봉, 김진성
|
p. 21-38
|
|
|
|
인디자인 한글판의 전문용어 번역 검토 연구 = A study of revising the technical translation used in the Korea version of InDesign : focusing on the paragraph panel : 단락 패널을 중심으로
|
구자은, 신인준
|
p. 39-49
|
|
|
|
실리콘을 활용한 현대예술장신구의 바이오모픽 표현 = Biomorphic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t jewelry using silicone
|
권슬기, 강연미
|
p. 51-62
|
|
|
|
트렌드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ustainable packagedesign according to changing trends : focused on agricultural product packagedesign : 농산물 패키지디자인 중심으로
|
김가형, 전신종
|
p. 63-77
|
|
|
|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용 미적체험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ogram for children using natural objects : focusing on the KIDS CAFE experience program : 키즈카페 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김나윤, 김흥렬
|
p. 79-92
|
|
|
|
놀이 이론으로 본 초현실주의 미술의 유희정신 = A study of the playful spirit of surrealist art based on play theory
|
김무아
|
p. 93-110
|
|
|
|
모자이크의 현대적 응용을 위한 고대 건축 예술에서의 모자이크 기법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mosaic techniques in ancient architectural art for modern application of mosaic
|
김수령
|
p. 111-123
|
|
|
|
빛의 물리적 특성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light : with emphasis on experimental fabrication : 실험제작을 중심으로
|
김수한, 전신종
|
p. 125-138
|
|
|
|
확장현실(XR)을 위한 공간 디자인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spatial design methodology for extended reality (XR)
|
김용학
|
p. 139-151
|
|
|
|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이 소비자의 캐릭터 굿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사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plasticity of character design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of character merchandise
|
김원경, 김보연
|
p. 153-168
|
|
|
|
디자인 요소가 종합병원 안내 표지 시스템의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design elements on the accessibility of general hospital signage system : focused on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 서울시 소재의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
당아남, 박용진
|
p. 169-186
|
|
|
|
파라텍스트(Paratext)를 기반으로 한 아트북 디자인 분석 = Analysis of art books design based on paratext : focusing on 'The Beauty of Book in China' award-winning works :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수상 작품을 중심으로
|
리예자오, 정재완
|
p. 187-201
|
|
|
|
휴머노이드 로봇 디자인 전형성과 브랜드 신뢰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참여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oid robot design typicality and brand reliability
|
마진우, 김진성
|
p. 203-216
|
|
|
|
립스틱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속성이 중국 소비자의 지각된 디자인 가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art collaboration design on lipstick on Chinese consumers' design value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impact of adjusting design styles(Chinese vs. international) : 디자인 스타일(중국 전통과 해외 트렌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무한잉, 김진성
|
p. 217-234
|
|
|
|
인공지능과 키네틱 조형물을 활용한 낙서 퍼포먼스 표현 연구 = Research on expression of graffiti performa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inetic sculptures : focused on <Humanoid Object #3> : <휴머노이드 오브젝트 #3>을 중심으로
|
민찬욱
|
p. 235-246
|
|
|
|
산업용 로봇팔의 예술 매체로서의 가능성 = Potential of industrial robotic arm as an artistic medium
|
배재혁
|
p. 247-258
|
|
|
|
인공지능과 인간의 협업으로 탄생한 새로운 예술의 지평 = New horizons of art born from the collaboration between AI and humans : focu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OpenAI and Alexander Reben : Open AI와 알렉산더 레벤의 협업을 중심으로
|
서은선
|
p. 259-273
|
|
|
|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제안 = Proposed package design for enhancing the visual ident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brands : based on the package proposal case of domestic brand N : 국내 N 브랜드 패키지디자인 제안 사례를 기반으로
|
송지인, 유하연
|
p. 275-292
|
|
|
|
Evaluation system and empirical research of brand IP content power of metal assembly model toys = 금속 조립 모형 장난감 브랜드의 IP 콘텐츠 강도 평가 체계 및 실증 연구
|
Xi, Wang, Han, Hyun Suk
|
p. 293-305
|
|
|
|
나비의 변태과정을 모티브로 한 패션디자인 연구 = A study on fashion design inspired by the metamorphosis of butterflies : focusing on digital printing with the decalcomanie technique : 데칼코마니 기법의 디지털 프린팅을 중심으로
|
신재영, 허정선
|
p. 307-321
|
|
|
|
공간 이론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장 서사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haracter growth in animation based on spatial theory : focusing on 'I Am What I Am' : <웅사소년>을 중심으로
|
안유, 한창완
|
p. 323-338
|
|
|
|
한·중·일 국립박물관 전시 공간의 디지털 융합 기술 활용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convergence technologies in the exhibition spaces of national museums in Korea, China, and Japan
|
양류, 심민섭, 장광집
|
p. 339-356
|
|
|
|
메타버스에서 음료 패키징 디자인의 시각적 상호작용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research on the impact of visual interactivity of beverage package design in the metaverse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
오령나, 박용진
|
p. 357-374
|
|
|
|
고령자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경향 = Research on trends in interaction design for the seniors
|
왕세옥, 신윤진
|
p. 375-391
|
|
|
|
패션 액세서리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스토리텔링의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storytelling in fashion accessory illustration
|
유연재, 최정화
|
p. 393-407
|
|
|
|
지역적 특징을 활용한 간판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signboard design applying local characteristics : targeted on Uleung Island' Cheonbu town : 울릉군 천부마을을 대상으로
|
이지혜
|
p. 409-425
|
|
|
|
반사효과를 활용한 현대예술과 현대 장신구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and contemporary jewelry using reflective effects
|
이혜민, 임채은, 이숙현
|
p. 427-440
|
|
|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을 통한 디지털 환경에서 미적 경험의 가치 = A study of aesthetic experience and its value in digital environment through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 case study on Lunatick by Antony Gormley and Priyamvada Natarajan : 안토니 곰리와 프리얌바다 나타라잔의 ‘루나틱’ 프로젝트 사례 연구
|
이홍원
|
p. 441-458
|
|
|
|
한국 조형도자작품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eometric shape of Korean formative ceramics works
|
이훈기
|
p. 459-470
|
|
|
|
OTT 동영상 재생 플랫폼에서 결제 프로세스의 UX/UI 특성이 유료 사용자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UX/UI characteristics of the payment process on the conversion rate of paid subscribers in OTT video playing platforms : an example from the mobile side : 모바일 사례를 중심으로
|
장가성, 김진성
|
p. 471-492
|
|
|
|
기호학적 관점에서 도시 건축의 경관디자인 특성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sign in urban architecture from a semiotic perspective
|
장가현, 상우신, 윤성호
|
p. 493-504
|
|
|
|
시각언어 형태론 체계의 회화 창작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visual language morphology system to painting creation : focused on ‘Mother Language Poems-Life, Love, Desire, Death, and Heaven’ : ‘母語詩-生愛慾死天’을 중심으로
|
장경기
|
p. 505-522
|
|
|
|
피터 줌터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전체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holeness of organic architecture in Peter Zumter architecture
|
장소예, 윤성호
|
p. 523-541
|
|
|
|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의 업사이클링 제품 개발 사례 연구 = Brand case study to revitalize upcycling products in the textile industry : focused on domestic brands : 국내 브랜드를 중심으로
|
장우희, 박현주
|
p. 543-556
|
|
|
|
예술시장의 구조 이해를 통한 현대공예시장의 구축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raft market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rt market : focused on the primary art market for contemporary craft art : 현대 예술공예를 위한 1차 시장 중심으로
|
정미성, 박중원
|
p. 557-578
|
|
|
|
지각과 기억의 중첩을 통한 풍경 이미지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landscape images through the overlap of perception and memory :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정지윤, 이정은
|
p. 579-591
|
|
|
|
현상학 관점으로 본 섬유예술 작품과 페미니즘의 연관성 연구 =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nnection between fiber artworks and feminism
|
제시시, 김영주
|
p. 593-612
|
|
|
|
공감각 이론에 의한 시후각 융합에 관한 연상 메커니즘 연구 = A study on the association mechanism on the fusion of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 by the theory of synesthesia : focus on the perfume containter : 향수 용기를 중심으로
|
주예요, 민자경
|
p. 613-635
|
|
|
|
요가복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 Analyzing perception types for yoga wear
|
차수정
|
p. 637-652
|
|
|
|
일본 MZ세대가 선호하는 K컬쳐 콘텐츠 유형이 K패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K-culture content type preferred by the Japanese MZ generation on the attitude of K-fashion brand : the national image as a parameter : 국가 이미지를 매개변수로
|
최지현, 한정민, 김현주
|
p. 653-668
|
|
|
|
모바일아트의 감상 과정 내 구성 요소 추출과 의의 연구 = Extracting components and studying their significance in the appreciation process of mobile art
|
하임성
|
p. 669-685
|
|
|
|
특수목적 미술치유 프로그램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necessity and potential of special purpose art therapy programs : fo[c]using on the J.A.T. art therapy for deferred prosecution youth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전북대학교 기소유예 청소년 아트테라피 J.A.T를 중심으로
|
홍경태, 엄혁용
|
p. 687-704
|
|
|
|
반려견 보호자를 위한 펫 케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I design for pet care mobile application for pet owners
|
황정우, 김승인
|
p. 705-72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