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델파이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글쓰기 피드백 모형 개발 = Generative AI-based writing feedback model development 최진영 p. 13-62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 future society : curriculum and teaching cas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social sciences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김희진, 박혜정 p. 63-90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수정하기 수업 사례 연구 = Using generative AI in revising writing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 a case study 오선경, 박정은, 장미정 p. 91-126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탐색 = Exploration of research trends in digital literacy for the elderly using topic modeling 김경화, 석혜은, 한은영 p. 127-157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 Example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writing : focusing on mutual feedback 배윤정 p. 161-188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독자 고려를 위한 협력학습 방안 =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for addressing audience awareness in argumentative writing : focusing on freshman composition courses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은지 p. 189-219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Designing and performing presentations as a process of rewriting : student activities in liberal arts writing classes at universities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김남미 p. 221-247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Changes in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eedback in process-oriented writing : focusing on S university’s writing classes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양지선 p. 249-276
메타인지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 Research on college writing feedback method based on metacognition 권양현 p. 277-308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teachers’ writing assessment literacy : a scoping review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김혜연 p. 309-340
다문서 기반에서 상충정보의 개념 및 해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resolution of conflicting information in multiple text foundations 문지연 p. 341-366
『토지』에 나타난 지배와 자유의 문제 = The problem of domination and freedom presented in novel Toji (土地) 진영복 p. 367-391
오가와 요코의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심리 공간과 현실 공간 = Psychological space and real space in Yoko Ogawa’s novel “The Professor And His Beloved Equation” : focusing on symbols and temporality : 기호와 시간성을 중심으로 김영선, 김태수 p. 393-420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Exploring trends and impacts i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time : based on reading medium and purpose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이용준, 이창희 p. 463-493
성인 애독자의 독서 전략으로서의 병렬 독서에 대한 탐색 = Parallel reading as a strategy among avid adult readers : exploring concepts and practical mechanisms : 개념과 실천 기제를 중심으로 최영인 p. 421-461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expository reading classes and instructional practice : based on teacher variables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허모아, 편지윤 p. 495-524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media section for structuring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이지수, 박종관, 최건아 p. 52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