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한제국 전기 언론계의 정치개혁론 = Ideas on political reform in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Empire's journalism 정종원 p. 1-40
조선총독부의 국유림 확보 과정과 벌채 중심의 국유림 경영 (1911~1926) = The acquisition of national forests and logging-centered management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11-1926) 김태현 p. 41-72
1958~1961년 북미 대한인국민회의 비정치화와 ‘재건안’ = The depoliticization and the 'reconstruction plan'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in 1958~1961 박영훈 p. 73-99
‘삼국통일’ 및 발해사 관련 역사인식과 용어 사용의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review of history awareness and use of terms related to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 『한국사』 교과서 23종을 중심으로 정선화 p. 101-139
새롭게 확인된 고려 묘지명 = The newly identified Goryeo epitaph tablets : Kyeong Hwi and Seok Sumin's epitaph : <景暉 墓誌銘>・<石受珉 墓誌銘> 강민경 p. 141-163
조운선의 發船・上納에 대한 기한과 실제 = Departure and offering deadlines and dates of Beopseongchang tax carriers 김덕진 p. 165-190
조선후기 京主人 役價의 증대와 경주인의 위상 변화 = Increased wages and changing status of Gyeong-ju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최주희 p. 191-225
1870년 대구부 각초동면 호적대장에 나타나는 호구출입 기록 분석 = Analysis of household entry and exit records appearing in the Gakchodongmyeon household register of 1870 김성오 p. 227-256
1970-1980년대 간호보조원 보건요원의 일상과 보건간호의 위계화 = The everyday lives of nursing assistants as health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 the de/hierarchization of public health nursing 정다혜 p. 257-295
공공역사로서 시민역사교육의 현황과 방향성 = The present condition and direction of citizen history education as public history 박미선 p. 297-322
역사학의 과제와 새로운 서술방식 = Challenges and a new narrative style in history 고은미 p. 323-345
中日戰爭 시기 중국의 라디오방송국 설립과 방송 관리 = Establishment of radio stations and broadcast management of Chin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이택곤, 김택경 p. 347-370
한중 상호이해 제고와 역사 교과서의 양국 관련 서술의 재조명 = 提高韩中相互理解历史教科书对两国相关叙述的再照明 : 以现行韩中历史教科书事例为中心 : 현행 한중 역사 교과서의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우성민 p. 371-416
베를린의 디지털 역사학 = Digital historiography in Berlin : ZZF and HU : 현대사 연구소와 훔볼트 대학 디지털 역사 연구소 문수현 p. 417-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