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의 변화 과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 = Critical analysis of the change proces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olicy : considering the case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 경기도교육청 ‘경기꿈의학교’(현 ‘경기이룸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부영, 조상식 p. 5-25
KOICA 학위연수사업 종료 평가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ICA scholarship program end-of-course evaluation survey 김지인, 신민경 p. 27-49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를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탐색 = Exploring ways to revitaliz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rough narrative curriculum design 이지은 p. 51-71
학생안전체험시설의 체험형 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육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검토 = An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experience-based safety education programs at student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이효정, 신나민, 윤초희, 임광국, 김주환 p. 73-94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과제 분석 = Analysis of issues and areas of improvement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competencies : 교사역량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박상완, 박소영, 박수정, 차성현, 이호준 p. 95-121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에 제시된 노인 이미지 분석 = Analysis of elderly image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illustrations : focused on social studies and ethics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과,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형수 p. 123-146
이주민 밀집지역 - 학교 간 연계·협력에 대한 지역사회 관계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sis of local community stakeholder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the community in immigrant-dense areas 정소민, 이재창, 윤현희 p. 147-173
정의적 특성의 요인 구조 파악을 위한 다차원 문항반응모형 = The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 for identifying the component structure of affective traits 이용상, 강경석 p. 175-187
대학 융합교육에 대한 학부생의 인식 분석 및 융합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방향 탐색 =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direction for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 a case study of S university :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엄유경 p. 189-210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봉사활동 강좌에서 교직이수학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i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course to cultivate community capacity : focusing on Dokdo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독도 교육을 중심으로 강경리 p. 211-245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imulated instruction i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es =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모의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탐색 : 메타포 분석을 바탕으로 : based on metaphor analysis Jeong, Hanho p. 247-270
플립러닝 기반 의과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 분석 = Analysis of good class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medical students in flipped learning-based medical school education : application of text mining techniques : 텍스트 마이닝 기법 적용 권효진, 채수진 p. 271-286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 대학 교양 영어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연구 : 필요성, 언어 기능별 중요도 및 선호하는 과목 중심 : necessity, skills improvement, and course preferences Shin, Miyoung, Kim, Heejung, Lee, Nari p. 287-309
공통상황문항을 통한 대학생 역량 점수의 비교 가능성 = Comparability of college student competency with anchoring vignettes 민경석 p. 311-329
대학생의 행동조절전략과 성장마인드셋 증진을 위한 단기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요구 분석 = Needs assessment for a short-term online program to improve college students’ behavioral regulation strategies and growth mindset 한수연, 김은예, 고한나, 박용한 p. 353-379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소외두려움의 순차매개효과 =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elf-concept clarity, and fear of missing out on social media addiction pron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권명현, 이경순 p. 381-402
한국 내 중국인 유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왕가진, 양정호 p. 403-431
조선족의 한국유학자본 형성에 관한 사례연구 =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Korean study abroad capital by Korean-Chinese students : graduate experiences of PhD holde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t Korean universities : 인문・사회계열 박사학위자의 대학원 경험을 중심으로 강미선 p. 433-460
학교 통일교육의 통일담론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unification discourse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 analysis of high school [life and ethics] textbooks :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상무 p. 461-484
인공지능 수학 ‘이미지 처리’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ubric for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정의선, 김동심 p. 485-510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행복감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the change trajectory and determinants of happiness from late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 applying a growth mixture model : 후기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김연 p. 511-535
어느 50대 중반 체육 교사의 자기 존재 탐구 = A mid-50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istential exploration 박인서 p. 537-558
한국 중학교 교사가 이해하는 '교사의 책임' = Understanding “teacher responsibility” among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유지한, 지미영, 마루시, 이채은, 정정훈 p. 559-586
또래동기분위기와 교사의 상호소통방식이 기대결과수준에 미치는 영향 =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hievement goals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motivational climate, teacher communication styles, and expected outcomes : 기본심리욕구와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안현선, 천승현, 이지수 p. 587-613
초·중등 교사가 지각하는 TPACK 수준에 따른 AI 융합교육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the training needs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PACK perceived by K-12 teachers 엄우용 p. 615-636
중등 과학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김영준, 손연아 p. 637-665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maturity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김동일, 박인후 p. 667-687
지적장애인의 또래 상호작용 및 또래 관계 향상을 위한 국내외 중재연구 동향 및 과제 고찰 = Trends and task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research to improve peer interaction and peer relationship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나지회, 안해님, 김지민, 정지윤, 이숙향 p. 689-719
강점인식기반 진로내러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a single-session strengths awareness-based career narrative program for adolescents : 단회성 진로교육에 참여한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진선, 정윤경, 이민정, 신주연 p. 721-740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내적동기,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mong student-athletes 김서호, 정윤영, 염세준, 이지연, 최유정, 천성민 p. 741-757
담임교사가 교체된 6학년 2학기 학급운영 질적 사례연구 = Qualitative case study of classroom operations in the second semester of 6th grade following classroom teacher replacement 한학범 p. 759-790
초등학생들의 온라인 뉴스 읽기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Understanding the online news read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news literacy education : 사회과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함의를 중심으로 이윤정, 은지용 p. 791-818
아동의 미디어중독에 대한 개인별 변화궤적 분류 및 영향 요인 = Classification of individual change trajectories and factors influencing media addiction in children 최종근 p. 819-839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교사의 개별화 지도 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 A concept mapping study on teachers’ competencies in individualized guidance for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김현수 p. 841-861
경력계획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career planning : focusing on empirical research in Korea : 국내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박상오, 배을규, 정찬길 p. 863-880
MZ세대 조직구성원의 교육훈련 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Z genera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ge : 조직신뢰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연령의 조절된 매개효과 우성미 p. 881-902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모음의 지각과 산출 오류 양상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error patterns of Korean vowels for Vietnamese learners 조남현 p. 903-929
한국어교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job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를 대상으로 이정자, 이미혜 p. 931-958
전문상담교사의 현장 슈퍼비전에 대한 기대 = School-based supervision expectation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 Q methodological analysis : Q방법론적 분석 박혜란, 김희경, 유순화 p. 959-978
집단상담에서 자발적·비자발적인 참여자의 탈출법 경험 과정 연구 =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of voluntary and involuntary participants involving the breaking out approach 장영아, 권경인 p. 979-1005
대학생의 인지적 참여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습성과 차이 검증 = Analysis of cognitive engagement profiles and their impact on academic outcomes among university students 김시현 p. 33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