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 디지털·코로나 시대의 뮤지엄 공공성 개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of museum's publicness in the post-digital/corona era :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archive platforms by museum of Korean literature : 문학 전시 기관의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 이용과 관련하여 김나래 p. 13-48
아카이브라는 극장 = Archive as theater : Korean queer theater since the 2010s and tasks of archive : 2010년대 이후 한국 퀴어연극과 아카이브의 과제 김민조 p. 49-91
1990년대 여성대중문학에 나타난 계급횡단자의 초상과 남성/이성애라는 적 = The portrait of a transclass and the enemy of male/homosexual in women's popular literature in the 1990s : significant reading of Shin Dal-ja's The Woman Who Walks on Water(1990) : 신달자의 『물위를 걷는 여자』(1990)에 대한 징후적 독해 유승희 p. 95-133
1990년대 장편 후일담의 부상과 죽음-사랑의 배치들 = The rise of feature-length reminiscences, and love-death as narrative codes 문예지 p. 135-167
1990년대의 박정희와 한국 소설 = Park Chung-hee and Korean novels in the 1990s : overlapping Lee Inhwa and Sung Sukje : 이인화와 성석제 겹쳐 읽기 장원석 p. 169-219
『서북학회월보』의 수량적 기초연구 = Quantitative basic research in the Seobukhakhoe-wolbo 이용범 p. 223-261
역사와의 불화, 여성의 리얼리즘 = A feud with history, a woman's realism : a rereading of Park Hwa-seong's travel narrative : 박화성의 기행 서사 재독(再讀) 성현경 p. 263-301
1930~40년대 포스트 S문화와 여성 동성(애) 문학의 가능성 = Post S-culture and the possibility of female same-sex love literature in the 1930s and 1940s : focusing on Ji Ha-Ryun's "Autumn" trilogy and its Para-text : 지하련의 「가을」 3부작과 그 곁텍스트(para-text)를 중심으로 이은솔 p. 303-335
삼팔선 바깥의 한국전쟁, 로만 김(Роман Ким)의 동아시아 횡단 = Korean War beyond the 38th parallel and Roman Kim's East Asian journey :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notebook found in Sunch'ŏn in North Korea and postwar Japan during the Korean War : 한국전쟁기 북한·일본에서의 『순천에서 발견된 수첩』 번역·수용 양상 연구 홍부일 p. 337-379
1960년대 여성문학 장의 발족과청미 문학 동인 = The establishment of the women's literature field in the 1960s and the Cheongmi literary coterie magazine 홍현영 p. 381-416
‘자유민주주의 교양론’의 내러티브 = The narrative of liberal democratic culture discourse : focusing on Yu Jin-oh's essays from the 1960s onward : 1960년대 이후 유진오의 에세이를 중심으로 장지영 p. 417-448
1990년대 전환기의 불임 디스토피아 = The sterility dystopia of the 1990s transition The 'Younggwang Nuclear Power Plant Anencephaly Incident'(1989) and the divergence of anti-nuclear/pro-nuclear narratives : ‘영광 핵발전소 무뇌아 사건’(1989)과 반핵/찬핵 서사들의 분기 강지희 p. 449-485
1990년대 한국 문학 비평의 ‘패배할 수 없는 구조’ = The undefeatable structure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in the 1990s : the two options : postmodernism and aesthetic modernity :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적 근대성이라는 두 개의 선택지 안세진 p. 487-530
이론의 임계점에서 = At the threshold of theory : discussions on unification discourse during the heyday of 'post-nationalism' : 전성기 ‘탈민족주의’와 통일 담론의 조우 장세진 p. 531-572
세월호 추모 시집의 텍스트 마이닝 연구 = A study on text mining in Sewol Ferry memorial poetry 허준행 p. 573-607
『중역한 영웅』이 놓인 자리 = Where the book, Relay Translations of Biography of Western Heroes is located [서평] 김성연 [평] p. 611-651
한국 근대문학의 영도 = Degree zero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on The Trajec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Kim, Dong-shik : 김동식, 『한국 근대문학의 궤적』, 소명출판, 2023 장문석 p. 653-701
비극과 희극 사이, 70년대 문학을 읽는 법 = Between tragedy and comedy, how to read literature from the 1970s : a review of Writers of the Winter Republic by Ryu, Young-ju : 유영주, 이형진·정기인 옮김,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 소명출판, 2023 이철호 p. 703-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