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학업착수지연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te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scale (SAIPS)
|
최정아, 양지연
|
p. 1-14
|
|
|
|
예비유아교사의 가족 건강성과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academic stres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조지영, 서현아
|
p. 15-27
|
|
|
|
비대면 상담서비스 운영 변화와 과제 = Changes and tasks in non-face-to-face counseling service operation : focusing on domestic sites : 국내 사이트를 중심으로
|
황용연, 이영선
|
p. 29-43
|
|
|
|
영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n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and expertise awareness
|
김갑순, 김응자
|
p. 45-55
|
|
|
|
중국인 학습자의 신문 기사 제목 이해 연구 = A study on understanding the title of newspaper by Chinese learners : focusing on the vocabulary knowledge of advanced learners : 고급 학습자의 어휘력을 중심으로
|
이춘
|
p. 57-71
|
|
|
|
국내 시각예술계열 일반대와 전문대 교육과정의 정합성 연구 = A study on the consistency between the department of visual arts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
백미현
|
p. 73-88
|
|
|
|
독거 중년 미혼남성의 외로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oneliness experience of middle-aged single men living alone
|
이명실, 이덕선
|
p. 89-107
|
|
|
|
신입생의 대학 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ramework for freshmen's university adaptation : focusing on students at A university : A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
최경식, 박민정
|
p. 109-124
|
|
|
|
학습자의 삶에 근거한 평화교육 모형개발 = Development of a peace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lives of learners
|
손서정, 최준규
|
p. 125-147
|
|
|
|
대학생의 융합교육 실천 방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convergence education practice methods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엄유경
|
p. 149-160
|
|
|
|
성인 ADHD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adult ADHD mothers
|
곽경민
|
p. 161-173
|
|
|
|
대학생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using generative AI by university students
|
노양진, 박동성
|
p. 175-194
|
|
|
|
로버스카우트의 초⋅중등학교 연계 봉사활동 사례 연구 = Study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tegrated volunteer activities of rover scouts : exploring the potential of rover scout system 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 로버스카우트 제도의 교육봉사활동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
정형수
|
p. 195-213
|
|
|
|
수학 학습 촉진을 위한 애니메이션 자료 제작 연구 = Research on creating animated materials to promote math learning : based on the Python library Manim : 파이썬 라이브러리 Manim을 기반으로
|
김혜수, 전영주
|
p. 215-230
|
|
|
|
성인의 비합리적 신념들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depression in adults
|
방선경
|
p. 231-241
|
|
|
|
시나리오기반 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의 효과와 경험에 대한 연구 = The effectiveness and experience of scenario-based simulation practical training
|
박민경, 임영랑, 석나영, 김정숙
|
p. 243-256
|
|
|
|
무용창작 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내재적 동기 및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penness to experience, engagement in the creative proces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in dance composition classes
|
이대원
|
p. 257-283
|
|
|
|
2022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영역 명 ‘초월’ 삭제와 해당 ‘내용 요소’ 이동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배경 학문의 주요 개념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key academic concepts to consider following the removal of the 'transcendence' domain and the reallocation of related 'content elements' in the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
곽영근
|
p. 285-301
|
|
|
|
스포츠참여 동호인의 사회적지지와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ity of sports participating club members
|
안수운, 김도형
|
p. 303-315
|
|
|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 수학> 교과서의 선분의 중점 지도에 관한 분석 = Analysis of teaching a midpoint of <Basic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허남구
|
p. 317-328
|
|
|
|
PBL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특성 = Characteristics of learning engagement based on learner achievement levels in a PBL curriculum : a corpus-based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s : 성찰일지의 코퍼스 기반 분석
|
황수정, 홍아정, 강준수
|
p. 329-346
|
|
|
|
자연생태 기반 STEAM 교육에서 유아가 경험한 행복의 의미 = The meaning of happiness experienced by children in natural ecology-based STEAM education
|
박지은, 정기섭, 강혜원, 홍성호
|
p. 347-366
|
|
|
|
베이비부머의 사회적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평생학습참여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by boomers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
황성동, 최웅용, 이윤주
|
p. 367-377
|
|
|
|
가치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행과 요구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implementation and demands of value education
|
강윤주, 황인애
|
p. 379-404
|
|
|
|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학습태도,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learning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focusing on a flipped learning classes in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교직수업을 중심으로
|
임현수
|
p. 405-417
|
|
|
|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in the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 of college student on career decision level
|
김기남, 최보영
|
p. 419-432
|
|
|
|
OJT 및 Off-JT가 일학습병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OJT and Off-JT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work-learning dual system
|
이지은, 양동훈
|
p. 433-452
|
|
|
|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및 학생역량과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attitude patterns and relationship with student capabilities
|
이경숙
|
p. 453-469
|
|
|
|
놀이기록 다시보기를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놀이 변화 탐색 = A study on changes of teacher's in early child care in the viewpoints on kid plays by reviewing the play records
|
유지혜, 오채선
|
p. 471-487
|
|
|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자기통제력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growth mindset and self-control on academic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
최수빈, 양남영
|
p. 489-499
|
|
|
|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가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mother-perceived father parenting involvement on preschoolers' self-regulation :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박중헌, 이연우
|
p. 501-513
|
|
|
|
특수교육 분야에서 살펴본 고교학점제 = High school credit system examin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 qualitative meta-synthesis : 질적 메타분석 연구
|
박정인
|
p. 515-532
|
|
|
|
미술치료 전공 학부생의 임상실습, 수퍼비전, 학부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um, supervision, and undergraduate experiences of art therapy majors
|
박윤미, 전수경
|
p. 533-547
|
|
|
|
국내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focusing on a comparison by school level : 학교급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수진, 임다미, 김제이
|
p. 549-574
|
|
|
|
지방 국립대 자율전공학부 신임교수의 대학혁신과정에서의 근무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about the working experience of a new professor at a local national university's non-major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innovation process
|
권정현
|
p. 575-595
|
|
|
|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아토피 피부염 유아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관리수준 = The level of awareness, knowledge, and man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in kindergarten and nursery teachers
|
박가희, 김은경
|
p. 597-610
|
|
|
|
예비기술교사의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념 형성과 변화 = Evolving concepts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in pre-service teachers : a case study at C university : C대학 강좌를 중심으로
|
임윤진, 김보영
|
p. 611-632
|
|
|
|
초등학교 5학년 일반 학생과 발달성 난독 학생의 영어 수행력 프로파일링 = Profiling English abilities of Korean 5th grader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yslexia
|
김소담, 배소영
|
p. 633-645
|
|
|
|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념적 접근에 관한 고찰 =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ceptual approache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a : a focus on the 2015 and 2022 revisions and comparisons with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ogram : IB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김지영, 황정훈
|
p. 647-666
|
|
|
|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회복탄력성 = English learning resilience of Korean students : using 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s : 설명적 혼합연구법을 중심으로
|
김영미, 김태영
|
p. 667-682
|
|
|
|
보편적 학습설계와 증거기반교수를 적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곱셈⋅나눗셈 성취도와 수학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universal design learning and evidence-based instruction 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performance and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윤금설
|
p. 683-709
|
|
|
|
국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교육 중재의 효과 = Effectiveness of core nursing skill training interventions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 체계적 고찰
|
이지은, 허윤라
|
p. 711-721
|
|
|
|
미래 학교 교육과정 체제로서의 다중심성 교육과정 생성⋅공유 체제 = Creation and sharing system of polycentric curriculum as a future school curriculum framework
|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
p. 723-739
|
|
|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적 기능의 실현 양상 분석 = Analyzing the realization patterns of interpersonal functions in dialogues of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textbooks
|
정대연, 무자영
|
p. 741-755
|
|
|
|
사교육비 불평등도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private tuition inequality : focusing on the private tuition Gini coefficient, the Hoover index and the Palma ratio : 사교육비 지니 계수, 후버 지수, 팔마 비율을 중심으로
|
박경미, 김화경
|
p. 757-775
|
|
|
|
초등 예비교사의 도형과 측정 영역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검사 도구 개발 및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tes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the areas of geometry and measurement
|
김윤민
|
p. 777-792
|
|
|
|
성인학습자의 성장 마인드셋,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학습 성과 간의 관계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growth mindse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
박신영
|
p. 793-807
|
|
|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4) ‘고전 시가’ 영역의 분석 및 방향 = Analysis and direction of the 'classical poetry'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2002-2024)
|
조성윤
|
p. 809-824
|
|
|
|
사전 정보를 활용한 컴퓨터 적응 검사의 측정 정확성 및 효율성 향상 방안 = Improving measurement accuracy and efficiency of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using prior information
|
이문수
|
p. 825-840
|
|
|
|
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clarity and self-compassion :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이은애, 채선기
|
p. 841-857
|
|
|
|
2000~2023년 국내 음악치료 연구의 트렌드 분석 = Trend analysi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South Korea(2000-2023) : a semantic network approach to keywords : 키워드 의미 네트워크 접근
|
이지경
|
p. 859-875
|
|
|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어교육 평가 연구의 동향 분석 = Analyzing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valuation research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고춘화
|
p. 877-896
|
|
|
|
일상 속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veryday microaggression scale : focusing on emerging adul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다문화가정 성인자녀를 중심으로
|
손보영, 조효진
|
p. 897-910
|
|
|
|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을 통한 변혁적 역량 탐구 = Exploring transformative capabilities through field prati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박희숙
|
p. 911-932
|
|
|
|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idioms = 대학생의 영어 관용어에 대한 인식
|
Hyechong Park
|
p. 933-949
|
|
|
|
상담자의 상담경력과 사례개념화 능력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experience and case conceptualization ability :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
공지수, 장유진
|
p. 951-968
|
|
|
|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 분석 = Analysis of the literature education content in the Australia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understanding by design framework
|
이은홍
|
p. 969-994
|
|
|
|
대학 집단상담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n group counseling in universities
|
정은이
|
p. 995-1012
|
|
|
|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 중학교 1학년 대상으로
|
부윤희, 고희숙, 최보영
|
p. 1013-1024
|
|
|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실행연구 방법이 적용된 국내 영유아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in Korea with practical research methods applied from 2020 to 2024
|
조성웅, 송지윤
|
p. 1025-1041
|
|
|
|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성인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in childhood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s
|
윤판기, 황혜정
|
p. 1043-1063
|
|
|
|
텃밭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편식, 식습관,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arden activities on picky eating, eating habit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in 4-year-old children
|
임해진
|
p. 1065-1078
|
|
|
|
의사소통적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A study on Korean textbook analysis for communicative pronunciation education
|
조성해
|
p. 1079-1092
|
|
|
|
성인학습자의 원격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distance learning
|
김소연
|
p. 1093-1109
|
|
|
|
어머니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부 갈등이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conflict on school adjustment in early school-age childre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
김미연, 김현주
|
p. 1111-1127
|
|
|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온라인(on-line) 양육참여 경험의 의미와 개선요구 = The meaning and the demand of on-line involvement in parenting for fathers raising young children
|
곽승주, 전유영, 김주후
|
p. 1129-114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