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체육 수업 자도자의[실은 지도자의] 교수열정과 교수이미지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teaching passion, teaching image, and education satisfaction
|
정원정, 박창범
|
p. 1-10
|
|
|
|
마음챙김 기반 젠탱글(Zentangle)의 활용 방안 모색 = Exploring ways to utilize mindfulness-based zentangle : focusing on cases of operating a zentangle art meditation program for children : 아동 대상 젠탱글아트명상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이현미, 이영림
|
p. 11-28
|
|
|
|
한부모이주여성 차별 경험 연구 = A study o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mong single-parent immigrant women
|
이춘양, 황선영
|
p. 29-48
|
|
|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교사 및 입학사정관의 인식 분석 = Analysis of teachers' and admission officers' perceptions on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ing on the documentation and evaluation of detailed competence and special activity records :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및 평가 방식 중심으로
|
조용, 유지선
|
p. 49-73
|
|
|
|
IB PYP와 2022 개정 교육과정 비교를 통한 주제 중심 초학문적 환경교육 방안 모색 = Exploring theme-centered transdisciplinary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of IB PYP and 2022 revised curriculum
|
이화진
|
p. 75-92
|
|
|
|
유아 기질척도(KTS-P)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tempera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
이채호
|
p. 93-104
|
|
|
|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모의수업 시연의 효과 분석 = Effects of mock classroom demonstrations linked to extracurricular programs :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eaching skills, music teaching self-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교수기술, 음악 교수효능감 및 교수내용지식을 중심으로
|
조혜영
|
p. 105-126
|
|
|
|
아동학대 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child abuse researches
|
김경희, 이정화
|
p. 127-149
|
|
|
|
양극성 장애 환자의 자가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mobile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김영화, 김지영
|
p. 151-165
|
|
|
|
온라인 교육사례 동향 연구를 통한 ESD와 평생교육에 대한 시사점 도출 = Derivation of implications for ESD and lifelong education through online education case trend study
|
유정록, 배홍연, 하정혜
|
p. 167-192
|
|
|
|
VR을 활용한 초등 역사수업 교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f the teaching experience in an elementary history class using VR
|
김세훈
|
p. 193-212
|
|
|
|
초등학교 학급응집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of class cohesion in elementary schools
|
윤희상
|
p. 213-226
|
|
|
|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A scoping review on child-based self-worth research in South Korea
|
이경민, 이상희
|
p. 227-242
|
|
|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순환소수에 대한 인식과 도형의 무한합에 대한 이해 = The perception of repeating decimals and understanding of infinite sums of geometric figures amo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
최경식
|
p. 243-256
|
|
|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 controlled mediating effects of the desire for recognition through fear of failure : 실패공포를 통한 인정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다인, 장한소리
|
p. 257-273
|
|
|
|
한국과 미국의 부모가 기대하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pertise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expected by par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이보람, 나정혜
|
p. 275-292
|
|
|
|
영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
라지숙, 서하정, 안철구, 박희숙
|
p. 293-307
|
|
|
|
유아 사회정서지원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보람과 어려움 = The reward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s
|
황인애, 주영신, 권경숙
|
p. 309-330
|
|
|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교사핵심역량의 관계에서 코칭역량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coaching competency on relationship between play sensitivity and cor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조은정, 신수경
|
p. 331-343
|
|
|
|
대취타의 음악 요소를 활용한 중학교 LMMS 창작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A study on teaching strategies for middle school LMMS applying musical elements of Daechwita
|
이리비, 문현경, 박영주
|
p. 345-358
|
|
|
|
유아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역할기대 및 역할수행 일치여부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consisten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권미숙, 조준오
|
p. 359-372
|
|
|
|
고등학생의 외⋅내향성과 스트레스 후 식습관 변화와의 상관성 = Correlation between extrovert·introvert tendency and eating behavior changes after getting str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최미준, 김성영
|
p. 373-386
|
|
|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의 에너지드링크에 대한 인식 분석 = A study on the adolescents' perception of energy-drinks using text mining analysis
|
최지현, 현우인
|
p. 387-399
|
|
|
|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동향 = Research trend of university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
조보람
|
p. 401-414
|
|
|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권리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on the service qualit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pervision : 수퍼비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영준, 박경진
|
p. 415-429
|
|
|
|
발달장애 대학생의 장애무용 수업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formation of practical knowledge in dance classess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정희정
|
p. 431-448
|
|
|
|
국제결혼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간 구조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parents in international marriage : a multi-group analysis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다중집단분석
|
이종훈, 김연화
|
p. 449-466
|
|
|
|
영유아 교사의 놀이 중심 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lay-based learning commun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 focus on 2020-2024 : 2020-2024년을 중심으로
|
차현주, 임지용, 김미류
|
p. 467-484
|
|
|
|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ing the happiness of infant teacher
|
김지윤, 김정희
|
p. 485-502
|
|
|
|
전문상담교사의 진정성 발현 과정에 대한 탐색 = An exploration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uthenticity :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접근
|
최영숙, 선혜연
|
p. 503-523
|
|
|
|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능력 및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분석 =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cculturative stress,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in immigra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혜미, 김유미
|
p. 525-539
|
|
|
|
초⋅중등 생산기술 문제해결 학습경험의 계열화 = Sequencing of learning experiences to production technology problems solv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박선희, 이상봉
|
p. 541-559
|
|
|
|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college students' somatic symptoms :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 우울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
정영주, 안선희
|
p. 561-576
|
|
|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cyber delinquency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aggression : 그릿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
오재은, 이태완, Jun Juan Zhang, 이민욱
|
p. 577-593
|
|
|
|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와 학업수행능력의 조절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maturity
|
정성은
|
p. 595-605
|
|
|
|
카데바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Influence factors o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daver practice
|
고정아
|
p. 607-616
|
|
|
|
중⋅고등학생을 위한 경제교육 프로젝트기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conomic education project based learning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rational consumption' and 'asset management' : ‘합리적 소비’와 ‘자산관리’를 중심으로
|
장경원, 최성호, 이희정
|
p. 617-638
|
|
|
|
성인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adult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job-major match : 직무-전공 일치 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황영아, 정소미
|
p. 639-654
|
|
|
|
중국과 한국 사교육 정책의 특징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education policies in China and South Korea : focusing on China's 'double reduction' policy : 중국의 ‘쌍감(双减)’정책을 중심으로
|
Xiu Yani, 이수정, 변영임
|
p. 655-670
|
|
|
|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환자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 Developing a patient safety simulation programme using gamification : rapid infusion of fluids connected to a medication infusion pump : 의약품 주입펌프 연결 수액의 급속주입 관련
|
김소연, 문미경
|
p. 671-680
|
|
|
|
은유 분석(Metaphor Analysis)을 활용한 대학생의 대학 교육과정 인식 연구 =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using metaphor analysis
|
최화숙
|
p. 681-698
|
|
|
|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expectations, resilience, and body satisfaction of ballet learners in the new normal era = 뉴노멀 시기의 발레 학습자의 무용기대감, 레질리언스, 체형만족의 관계
|
Hye-in Won
|
p. 699-712
|
|
|
|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 =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lf-directed learning types among medical students
|
정소미, 고아라, 권복규
|
p. 713-723
|
|
|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학업 무기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adolesc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elf-esteem : 스마트폰 과의존과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손수환, 김예린, 고은영
|
p. 725-737
|
|
|
|
체계기능언어학의 논리적 은유와 접속어미를 대체하는 다단어 표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metaphors i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d multiword expressions replacing conjunctions
|
윤혜경, 한정한
|
p. 739-758
|
|
|
|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목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classe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smartphones by high school students
|
정회근, 조현경
|
p. 759-775
|
|
|
|
자폐 청소년의 지역사회기반 사회성 발달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A longitudinal case study on community-based social development of autistic adolescent : from 13 to 22 years old : 13세에서 22세까지
|
류은진, 이상희, 전정아, 조민지
|
p. 777-794
|
|
|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수업시연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demonstration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 changes following mentoring-centered teaching demonstrations : 멘토링 중심 수업시연대회에 따른 변화
|
최윤지, 이희선
|
p. 795-810
|
|
|
|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and counselor self-efficacy on burnout : the controlled mediation effect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서명옥, 최보영
|
p. 811-827
|
|
|
|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ld's play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n peer competence
|
최설희, 오재연
|
p. 829-849
|
|
|
|
학교 축제와 연계한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의 시론적 탐색 =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alternatives of the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in linked to school festivals operation plan : focusing on core-projects : 핵심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조용, 홍후조
|
p. 851-871
|
|
|
|
토론학습 기반 생명윤리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자아개념과 윤리적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discussion learning-based bioethics education on the moral self-concept and ethical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
현사생, 양희모
|
p. 873-883
|
|
|
|
Exploring internation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global citizenship course by applying Q methodology = Q방법론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수업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 유형 분석 : 유네스코 학습영역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UNESCO’s conceptual framework
|
Eunjin Lee
|
p. 885-902
|
|
|
|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perfectionism on social teaching efficacy
|
양유진
|
p. 903-917
|
|
|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of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
한은서, 조민아
|
p. 919-931
|
|
|
|
한의학교육프로그램 평가에 CIPP 교육과정 평가 모형 적용 가능성 탐구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IPP curriculum evaluation model to the evaluation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programs : based on the KAS2022 :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평가인증 편람을 바탕으로
|
이재창
|
p. 933-959
|
|
|
|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경험 = School field training experience of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 focusing on non-college of education student experience : 비사범계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박가나
|
p. 961-990
|
|
|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 Latent profile analysis of first grade children's leisure time use
|
윤소정
|
p. 991-1006
|
|
|
|
연구사적 관점에서의 발생적 문식성 개념 검토 = A review of the concept of emergent literac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 Marie M. Clay's theoretical perspective : Marie M. Clay의 이론을 중심으로
|
곽수범
|
p. 1007-1027
|
|
|
|
내현적 자기애 성향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향상을 위한 자기자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elf-compassion program for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with covert narcissism tendency
|
이연옥, 최보영
|
p. 1029-1045
|
|
|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 Effect of nurses'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 a prediction model using the CHAID regression trees : CHAID를 이용한 예측모형
|
김수진, 정경화
|
p. 1047-1062
|
|
|
|
부모의 문화자본이 초등학생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cultural capita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민희, 김한성
|
p. 1063-1083
|
|
|
|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 디지털 시민성 분석 = Analysis of digital citizenship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n-site support data : focusing on digital play cases : 디지털 놀이 사례를 중심으로
|
김지연, 양유진
|
p. 1085-1105
|
|
|
|
성인 근로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in adult workers
|
김소연, 좌은정, 최보영
|
p. 1107-1117
|
|
|
|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중년여성을 위한 ‘의자요가’의 활용가능성 탐색 = An approach explore of the usability and applicability of 'chair yoga' for middle-aged women as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
최윤선, 정원정, 박휴경
|
p. 1119-1134
|
|
|
|
대학생의 학습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과 진로탐색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learning compe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collage[실은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강진
|
p. 1135-1152
|
|
|
|
사회적 관점취득을 적용한 문화다양성 수업 방안 설계 = Design of a cultural diversity lesson plan applying social perspective-taking :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를 중심으로
|
오미정
|
p. 1153-1170
|
|
|
|
지능정보화 사회의 특수교사 수업 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이가영, 양한나, 이설희
|
p. 1171-1184
|
|
|
|
청소년의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연구 = Analysis of the latent profile of adolescents according to school adjustment :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cyber delinquency awareness and the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to latent profile :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또래애착과 자기조절학습 영향력 탐색 및 사이버비행 인식 차이 검증
|
이재인, 김춘경
|
p. 1185-1198
|
|
|
|